안녕하세요.
여러분은 혹시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이란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번아웃 증후군이란 한 가지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피로감으로 인하여 무기력증, 심한 불안감, 자기혐오 등의 상태에 빠지는 것을 말하는데, 현대인의 3명 중 2명이 경험해 보았을 정도로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입니다.
실제로 충분한 휴식 뒤에도 극심한 피로 증상이 풀리지 않고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번아웃 증후군이라 진단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영재들에게도 번아웃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우리 아이가 요즘 이상해요."
"똑똑했던 우리 아이가 갑자기 변했어요"
영재들에게 발생하는 번아웃 증후군을 영어로 "영재 번아웃 증후군(Gifted Kid Burnout Syndrome)"이라고 합니다.
"Gifted"란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데요.
1. (형용사) 재능이 있는
2. (형용사) (좋은 것을) 지닌
즉, gifted kid라고 하면 재능이 있는 아이, 즉 영재를 의미합니다.
그럼, 영재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영재 번아웃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영재 번아웃 증후군이란? (Gifted Kid Burnout Syndrome)
영재 번아웃 증후군이란 평균 이상의 능력을 부여받은 아이가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그들에게 부여한 비현실적인 기대로 인한 과도한 압박으로 인하여 지쳐버려서 발생하는 번아웃 증후군을 말합니다.
영재라는 특성상 모든 것을 다 알고 행동할 것이다라고 생각해 버리기 쉽지만, 오히려 영재 아이들은 일반 아이들보다 탈진에 더 취약하기 쉽습니다. 그 이유는 가족, 동료, 교사들이 영재들에게 부여하는 불합리하게 높은 기대로 인하여 영재들은 스스로를 가장 큰 자신의 비판자로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정신적, 정서적 피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영재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
영재 번아웃 증후군의 요인은 다양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다양한 원인들로 인하여 만성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정신적 육체적인 소진 현상이 발생되게 됩니다.
영재 번아웃 증후군의 중요한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치관과 일치하지 않는 교육환경
2) 권위주의적인 부모 아래서 성장
3) 융통성이 없고 반복적이며 목적을 부여하지 않고 영재에 대한 복지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춤 학교 커리큘럼
4) 마치 낙인과 같은 "영재"라는 독성 낙인(toxic labels)
5) 완벽주의 또는 매우 높은 개인적 기준
6) 외로움과 동료로부터의 배제 혹은 지원 부족
7) "더 열심히 노력하세요", "더 잘하세요"와 같은 격려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인의 피드백
물론, 이것보다 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 사회의 영재 교육 속에서도 반드시 생각해 봐야할 요인들일 것 같습니다.
3. 영재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
1) 신체적 질병과 관련이 없는 두통 또는 복통
2) 이전에 즐거웠던 일에 대한 무관심
3) 학교, 친구, 교사 및 미래에 대한 우려
4) 과거 외향적이었던 아이도 단독 활동을 선호함
5) 과제를 제 때에 완료하지 못함
6) 학교 성적에 고통받음
7) 상황이 힘들어지면 포기해 버림
8) 식습관 및 수면 패턴의 변화가 발생
9) 심해지면 공황 발작이 나타날 수 있음
따라서, 평소에 부모나 교사들은 아이들의 생활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지 적절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부모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4. 영재 아이가 번아웃 증후군을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
1) 현재 아이가 처한 환경 평가 (가정, 학교) 후 그러한 환경이 아이에게 맞는지 점검
2) 영재 자녀에게 너무 완벽주의적이거나 "All or Nothing"식의 사고 패턴을 주입하는 것은 자멸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영자 아이에게 모든 것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점을 알려주고, 부모의 실수 경험담을 공유하여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결과보다는 노력과 즐거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예를 들어 수학을 싫어하지만 음악적 재능이 있는 아이에게는 수학이 음악을 해석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말해 준다면 좋을 것입니다.
4) 영재 아이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대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대처 기술이란 예를 들어 "나는 내 목표와 희망적인 일에 집중하기로 했어" 또는 "오늘은 나 자신에게 가혹하게 대하지 않기로 했어"와 같은 긍정적인 진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5) 부모와 온전히 집중해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느 시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6) 영재 자녀가 휴식을 취하도록 허용해야 합니다. 그것은 반드시 영재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황(학업, 환경)과 관련이 없는 휴식을 의미합니다.
7) 부모도 스스로를 같이 돌보셔야 합니다. 영재를 양육하는데 소진되는 체력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모 스스로를 행복하게 할 수 있는 일을 해보세요.
간과하기 쉽지만 부모는 아이의 거울입니다.
스트레스 받고 있는 부모를 보는 아이들 역시 똑같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 항상 염두에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건강한 씨앗 5가지에 대해서 (0) | 2024.02.24 |
---|---|
틱톡 허벅지 틈 인증 레깅스 레그 legginglegs 태그 차단, 섭식 장애 의미 종류 알아보기 (0) | 2024.02.19 |
갑상선암 정의 종류 치료,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가? (0) | 2024.02.16 |
폐동맥고혈압 정의 원인 증상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4.02.15 |
사후피임약의 종류와 시간, 부작용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