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성의 인삼 (Female Jinseng)"이라고 알려진 "당귀(當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귀라는 한자를 살펴보면, 當(마땅할 당)과 歸(돌아올 귀)라는 약재 이름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한자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옛날 중국에서는 전쟁터에 나가는 남편을 걱정하며 남편의 품속에 이 당귀를 넣어주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전투시에 체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기운이 회복되어 전쟁을 무사히 치를 수 있다라고 믿었다고 하는데요.
마치 카카오 열매의 이야기와 비슷한 당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귀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뉘고 중국당귀, 일당귀 / 토당귀로 성미와 효능이 나뉘기 때문에 내용을 나누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토당귀(土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 기원 : 참당귀의 뿌리 (우리나라 당귀)
2) 성미 : 성은 온(溫)하고, 미는 신고(辛苦)
(성미를 보면 중국당귀, 일당귀보다 보혈작용은 약하고, 행혈작용은 강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3) 효능 : 거풍통락(祛風通絡), 활혈지통(活血止痛)
(풍을 제거하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혈을 잘 돌게하고 통증을 그치게 한다.)
4) 주치 : 풍습비통(風濕痺痛), 질타종통(跌打腫痛)
(풍습으로 인한 저림 증상, 타박상 등)
2. 중국당귀(中國當歸, Angelicae Sinensis Radix), 일당귀(日當歸, Angelice Acutilobae Radix)
1) 한의학 분류 : 보혈약(補血藥)
2) 기원
① 중국당귀 : 중국당귀의 뿌리 (약재로 수입 안됨)
② 일당귀 : 왜당귀의 뿌리
3) 성미 : 성은 온(溫)하고, 미는감신(甘辛)
4) 귀경 : 심(心), 간(肝), 비(脾)
5) 효능 : 보혈화혈(補血和血), 조경지혈(調經止血), 윤조활장(潤燥滑腸)
(혈을 보해주고 조화롭게 해주며, 경락을 고르게 하고 피를 멎게 하고, 건조한 것을 윤택하게 하며 장을 활발하게 해준다.)
6) 주치 : 월경부조(月經不調), 경폐복통(經閉腹痛), 혈허두통(血虛頭痛), 현훈(眩暈), 장조변난(腸燥便難), 옹저창양(廱疽瘡瘍), 질타손상(跌打損傷)
(여성의 생리불순, 폐경 복통, 빈혈 등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 장이 마르고 변비, 각종 종양, 타박상 등을 치료함)
7) 금기 : 실열증(實熱證)이나 음허로 인한 열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8) 분포지역
① 중국당귀 : 중국(쓰촨, 윈난, 후베이, 깐쑤, 산시)
② 일당귀 : 일본, 한국, 중국(지린)
3. 동의보감에서의 당귀
1) 내경편 > 혈(血)
治一切血. 能和血, 行血, 養血. 芎藭, 當歸, 合爲芎歸湯, 爲血藥第一. 《綱目》
(모든 혈병을 치료한다. 혈을 조화시키고 잘 흐르게 하며 혈을 기른다. 천궁과 당귀를 합하면 궁귀탕이 되는데 혈약 중에서 가장 좋다.)
2) 내경편 > 포(胞)
主崩漏, 及月水不利. 煎服, 末服幷佳. 《本草》
(붕루 및 월경이 잘 나오지 않는데 주로 쓴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모두 좋다.)
3) 외형편 > 두(頭)
治血虛頭痛. 細剉, 酒煎服之. 《本草》
(혈허두통을 치료한다. 얇게 썰어 술에 달여 먹는다.)
4) 잡병편 > 허로(虛勞)
治虛勞, 寒熱, 補不足, 補血和血行血. 剉煎服, 或丸服, 散服皆良. 《本草》
(허로로 인한 오한발열과 부족을 보하고, 혈을 보하면서 조화롭게 하고 잘 흐르게 한다. 썰어서 달여 먹거나, 환제, 산제로도 먹는데 모두 좋다.)
5) 잡병편 > 부인(婦人)
治婦人百病. 又治産後腹痛. 當歸末三錢, 水煎服, 名獨聖湯. 《良方》
(부인의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고, 산후에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가루 3돈을 물에 타 먹는다. 이것을 독성탕이라고 한다.)
血刺痛, 用當歸, 乃和血之藥. 若血積刺痛, 宜用桃仁ㆍ紅花ㆍ當歸頭. 《丹心》
(어혈로 찌르듯 아플 때는 당귀를 쓰니, 혈을 조화롭게 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만약 혈적이 있어 찌르듯 아프면 도인, 홍화, 당귀두를 써야 한다.)
6) 탕액편 > 초부 하(草部 下)
性溫, 味甘辛, 無毒. 治一切風ㆍ一切血ㆍ一切勞, 破惡血, 養新血. 及主癥癖, 婦人崩漏絶子. 療諸惡瘡瘍金瘡, 客血內塞, 止痢疾腹痛. 治溫瘧, 補五藏, 生肌肉.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모든 풍병, 혈병, 허로를 치료하고, 어혈을 풀며,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한다. 장벽고 부인의 붕루, 불임에 주로 쓴다. 여러 가지 악창과 쇠붙이에 상하여 어혈이 속에 뭉친 것을 치료하고, 이질복통을 멎게 한다. 온학을 치료하고 오장을 보하며 새살이 돋게 한다.)
生山野, 或種蒔. 二月八月採根, 陰乾. 以肉厚而不枯者, 爲勝. 又云, 肥潤不枯燥者, 爲佳. 又云, 如馬尾者, 好.
(산과 들에 자라는데, 심기도 한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살이 많고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 또, 살찌고 윤기가 있으며 말르지 않은 것이 좋은 것이라고도 한다. 또, 말꼬리와 같이 생긴 것이 좋은 것이라고도 한다.)
要破血, 卽使頭一節硬實處, 要止痛止血, 卽用尾. 《本草》
(어혈을 깨뜨리려고 할 때는 머리 쪽의 단단한 마디를 쓰고, 지혈시키거나 진통시킬 때에는 잔뿌리를 쓴다.)
주의) 당귀미가 어혈을 깨뜨린다는 내용도 있다.
用頭則破血, 用尾則止血. 若全用則一破一止, 卽和血也. 入手少陰, 以心主血也. 入足太陰, 以脾裹血也. 入足厥陰, 以肝藏血也. 《湯液》
(머리 부분을 쓰면 어혈을 풀고, 잔뿌리를 쓰면 피를 멎게 한다. 전체를 다 쓰면 한편으로는 어혈을 풀고, 한편으로는 피를 멎게 한다. 이것이 바로 화혈하는 것이다. 심은 혈을 주관하니 수소음에 들어가고, 비는 혈을 감싸니 족태음에 들어가며, 간은 혈을 간직하니 족궐음에 들어간다.)
氣血昏亂者, 服之卽定, 各有所當歸之功. 治上酒浸, 治外酒洗, 血病酒蒸, 痰用薑汁炒. 《入門》
(기혈이 문란되었을 때, 먹으면 안정된다. 돌아가야 할 곳으로 돌아가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상부의 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담가 쓰고, 외부의 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씻어 쓴다. 혈병에는 술에 쪄서 쓰고, 담병에는 생강즙에 축여 볶아 쓴다.)
4. 골다공증에 좋은 당귀
과학저널 ACS Central Science에 당귀를 주제로 한 연구 내용이 실렸다고 합니다.
당귀에서 합성된 두 가지 새로운 화합물인 팔카린프탈라이드(falcarinphthalide) A와 B라는 화합물을 발견했다는 내용인데요.
특히, 팔카린프탈라이드 A는 세포 테스트에서 입증된 상당한 항골다공증 활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법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부작용이 많이 따릅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체 의학적 치료방법은 많은 골다공증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연구팀은 실험에서 이 화합물이 뼈 손실을 부추기는 파골세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고 하는데, 그 결과 팔카린프탈라이드 A와 그 전구체가 파골세포를 억제하고 골다공증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가 연구 결과, 팔카린프탈라이드 A는 파골세포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주요 분자 경로를 차단하는 것으로도 드러났는데요.
팔카린프탈라이드 A가 NF-kB, C-FOS 경로를 차단하여 파골세포 조성 경로를 차단한다는 내용입니다.
다음 연구의 귀추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 효능 알아보기 a.k.a 적작약 백작약 (0) | 2024.02.27 |
---|---|
천궁 (토천궁, 일천궁) 효능 알아보기 (0) | 2024.02.26 |
황기의 기원 특징 효능 등 알아보기 (0) | 2024.02.22 |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의 효능 그리고 구증구포에 대하여 (0) | 2024.02.21 |
인체의 정기를 보존해 주는 산수유의 효능 (0)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