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천궁 (토천궁, 일천궁) 효능 알아보기

곰돌이규순 2024. 2. 26. 13:48
천궁 main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의학에서 혈과 관계된 질환에 사용되는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처방인 사물탕의 구성 약재 중 하나인 "천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궁

 

1. 천궁(川芎)

토천궁(土川芎, Chuanxiong Rhizoma)
일천궁(日川芎, Cnidii Rhizoma)
 
1) 한의학 분류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2) 기원 : 토천궁 (중국천궁의 근경) / 일천궁(천궁의 근경)
 
3) 성미 : 성은 온(溫)하고, 미는 신(辛)
 
4) 귀경 : 간(肝), 담(膽), 심포(心包)
 
5) 효능 : 활혈행기(活血行氣), 거풍지통(祛風止痛)
(혈을 잘 돌게 하고, 기를 운행시키며, 풍사를 제거하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
**즉 기혈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통증을 제거
 
6) 주치 : 월경불조(月經不調), 경폐통경(經閉痛經), 징가복통(癥瘕腹痛), 흉협자통(胸脇刺痛), 질박종통(跌撲腫痛),두통(頭痛), 풍습비통(風濕痺痛)
(여성 생리불순, 폐경으로 인한 통증, 뱃 속의 덩어리로 인한 복통, 흉협의 찌르는 듯한 통증, 타박상이나 부종 등으로 인한 통증, 두통, 풍습사로 인한 저림 혹은 통증)
 
7) 금기 : 음허한 경우나 위는 성한데 아래는 허한 경우, 기가 약한 경우에는 피한다.
 
8)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2. 동의보감에서의 천궁

** 천궁은 단방으로는 사용하는 경우가 동의보감에는 없음
1) 탕액편 > 초부 상(草部 上)
性溫, 味辛, 無毒. 治一切風ㆍ一切氣ㆍ一切勞損ㆍ一切血. 破宿血, 養新血, 止吐衄血及尿血便血, 除風寒入腦頭痛, 目淚出. 療心腹脇冷痛.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모든 풍병, 기병, 허로, 혈병을 치료한다. 어혈을 깨뜨리고 피를 만든다. 토혈, 코피, 요혈, 변혈을 멎게 하고, 풍한이 뇌에 들어가 머리가 아프고 눈물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명치와 옆구리가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處處種蒔. 三月九月採根, 暴乾. 惟貴形塊重實, 作雀腦狀者, 謂之雀腦芎, 此最有力. 《本草》
(곳곳에 심는다. 3월과 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가 덩이지고 무거우면서 단단하며 참새 골처럼 생긴 것을 작뇌궁이라고 하여 귀하게 여긴다. 이것이 약효가 제일 좋다.)
 
入手足厥陰經ㆍ少陽經本經藥也. 治血虛頭痛之聖藥, 散肝經之風邪.
(수궐음경, 족궐음경, 소양경에 들어가는 본경약이다. 혈허로 생긴 두통을 치료하는 성약으로 간경의 풍사를 깨뜨린다.)
 
貫芎, 治少陽經苦頭痛, 上行頭目, 下行血海, 治頭面風, 不可缺也. 頂痛腦痛, 須用川芎. 《湯液》
(관궁은 소양경에 생긴 두통을 치료한다. 약 기운이 위로는 머리와 눈에까지 이르고 아래로는 혈해까지 이르니 얼굴과 머리에 생긴 풍을 치료할 때 없으면 안되는 약이다. 정수리와 뇌가 아픈데는 반드시 천궁을 써야 한다.)
 
芎, 卽苗頭小塊也. 氣脉上行, 故能散鬱. 與雀腦芎同功. 《丹心》
(무궁은 싹의 끝 부분이 작게 뭉쳐 있는 것이다. 약 기운이 맥을 따라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뭉친 것을 흩을 수 있다. 작뇌궁과 약효가 같다.)
 
芎藭, 若單服久服, 則走散眞氣, 或致暴死. 須以他藥佐之. 骨蒸多汗者, 尤不可久服. 《本草》
(궁궁 한 가지만 먹거나 오랫동안 먹으면 진기가 흩어져서 갑자기 죽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다른 약을 좌약으로 써야 한다. 골증열이 나면서 땀이 많은 사람은 더욱 오래 먹으면 안된다.)
 
大塊色白不油者, 佳. 《本草》
(뿌리덩이가 크고 흰빛이 나며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은 것이다.)
 
2) 탕액편 > 초부 상(草部 上) > 궁궁(芎藭) > 미무(蘼蕪)
** 미무는 천궁의 싹을 의미합니다.
 
一名江籬, 卽芎藭苗也. 主風邪頭風目眩. 辟邪惡, 除蠱毒, 去三蟲. 四五月採葉, 暴乾. 《本草》
(일명 강리라고도 하니, 즉 천궁의 싹이다. 풍사로 인한 두풍, 목현에 주로 쓴다. 사악한 것을 물리치고 고독(벌레의 독)과 삼충(장충, 적충, 요충)을 죽인다. 4월~5월에 잎을 따서 볕에 말린다.)
 
 

사물탕 구성 (출처 : 漢方薬のきぐすり.com)

3. 천궁의 용도

천궁은 개별 약재로 사용된다기 보다는 탕약의 구성으로 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궁이 들어가는 처방은 굉장히 많은데 가장 기본적인 처방이 바로 "사물탕"입니다.
 
"사물탕(四物湯)"
사물탕은 한의학에서 혈병을 치료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탕약으로 4가지 약물로 구성됩니다.
 
동의보감에는 사물탕을 구성하는 각각의 약제와 효능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히 기록해 있기 때문에 참고해 볼 만합니다.
 
通治血病. 熟地黃ㆍ白芍藥ㆍ川芎ㆍ當歸 各一錢二分半. 右剉, 作一貼, 水煎服. 《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각 1.25돈.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一方, 春倍川芎, 夏倍芍藥, 秋倍地黃, 冬倍當歸.
(혹은 봄에는 천궁을 2배로 하고, 여름에는 작약을 2배로 하며, 가을에는 지황을 2배로 하고, 겨울에는 당귀를 2배로 한다.)
 
春加防風, 夏加黃芩, 秋加天門冬, 冬加桂枝. 《綱目》
(봄에는 방풍을 더하고, 여름에는 황금을 더하고, 가을에는 천문동을 더하고, 겨울에는 계지를 더한다.)
 
當歸, 和血歸經. 芍藥, 涼血補腎. 生地黃, 生血寧心. 熟地黃, 補血滋腎. 川芎, 則行血通肝. 《丹心》
당귀는 혈을 조화롭게 하여 경락으로 돌려보내고, 작약은 혈을 식히고 신장을 보하며, 생지황은 혈을 만들고 심을 편안히 하고, 숙지황은 혈을 보하고 신을 자양하며, 천궁은 혈을 잘 흐르게 하고 간을 통하게 한다.)
 
劉宗厚曰, 欲求血藥, 其四物之謂乎. 夫川芎, 血中氣藥也. 通肝經, 性味辛散, 能行血滯於氣也. 地黃, 血中血藥也. 通腎經, 性味甘寒, 能生眞陰之虛者也. 當歸, 分三治, 血中主藥也. 通肝經, 性味辛溫, 全用, 能活血各歸其經也. 芍藥, 陰分藥也. 通脾經, 性味酸寒, 能涼血. 又治血虛腹痛. 若求陰藥之屬, 必於此而取則焉.
(유종후가 말하길, "혈약을 찾고 있다면 사물탕을 쓰라"고 하였다. 천궁은 혈 중의 기약으로 간경을 통하게 하고, 매운맛으로 흩어서 기 때문에 막힌 혈을 운행시킨다. 지황은 혈 중의 혈약으로 신경을 통하게 하고, 단맛이 나고 차가워 진음이 허한 사람을 살린다. 당귀는 3부분으로 나누어 쓰는데 혈병에 주로 쓰는 약이고 간경을 통하게 하며 매운맛이 나고 따뜻하다. 3부분을 전부 쓰면 혈을 잘 흐르게 하여 각 경맥으로 돌아가게 한다. 작약은 음분의 약으로 비경을 통하게 하고, 신맛이 나고 차가워 혈을 식힌다. 또 혈이 허하여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만약 음약 종류를 구한다면 필히 사물탕에서 법칙을 취해야 할 것이다.)
 
정리해 보면,
"천궁은 기와 혈을 잘 돌게 해주며,
막힌 혈을 뚫어 주기 때문에 기체, 혈체 등의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처방에서 다른 약을 도와서 약효를 상승시켜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