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한약재 방기 효능 알아보기 목방기 분방기 댕댕이덩굴

곰돌이규순 2024. 9. 1. 12:20

방기 main

 

안녕하세요.

 

오늘은 "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한다"라는 이름을 가진 "방기"라는 한약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방기의 한자를 살펴보면, "막을 방(防)과 자기 기(己)", 이렇게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한약재로써는 진통효과를 위한 한약이나 부종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한약재 방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기

 

1.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1) 한의학적 분류 : 거풍습약

 

2) 기원 : 방기의 덩굴성줄기 및 근경 (중국에서는 청풍등이라고 함)

** 목방기 : 댕댕이덩굴의 뿌리

** 분방기 : 분방기의 뿌리

** 광방기는 독성 약재

 

3) 성미 : 성은 한(寒), 미는 고신(苦辛)

 

4) 귀경 : 방광(膀胱), 신(腎), 비(脾), 폐(肺)

 

5) 효능 : 거풍지통(祛風止痛), 이수소종(利水消腫). 행기지통(行氣止痛)

(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멈추게 함, 수액대사를 원활히 해서 부종을 감소시킴, 기를 운행시켜서 통증을 그치게 함)

** 풍한습으로 인한 비증(저림)과 통증을 줄여줌

 

6) 주치 : 수종각기(水腫脚氣), 소변불리(小便不利), 습진창독(濕疹瘡毒), 고혈압(高血壓)

 

7)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네팔, 인도 북부, 태국 북부

 

 

방기의 수레바퀴 모양

 

2. 동의보감에서의 방기

1) 내경편 > 방광부(膀胱腑)

去膀胱熱. 剉水煎服之. 《本草》

(방광의 열을 없앤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2) 외형편 > 맥(脉)

通行十二經脉. 水煎服之. 《湯液》

(십이경맥을 잘 흐르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

 

3) 잡병편 > 습(濕)

能治濕風, 口面喎斜. 木通同功. 剉煎服之佳. 《本草》

(습이나 풍으로 인한 구안와사를 치료한다. 목통과 효과가 같다. 썰어서 달여 먹으면 좋다.)

 

4) 탕액편 > 초부 하(草部 下)

성질이 평(平)하면서 따뜻하고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다.

습이나 풍으로 구안와사나 손발이 아픈 것과 온학의 열기를 치료한다.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수종ㆍ풍종(風腫)ㆍ각기를 치료한다.

방광의 열을 없애고, 옹종ㆍ악결(惡結), 온갖 종기, 개선충창을 치료한다.

 

방기는 본래 한중(漢中) 땅에서 난다.

쪼갠 면이 수레바퀴 모양인 것이 좋다.

노란색이며, 속이 차 있고 향이 난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청백색으로 연하고 속이 성긴 것을 목방기라고 하는데 약으로 쓰지 않는다. 《본초》

 

태양경의 본경약으로 십이경맥에 두루 작용한다.

술에 씻어 껍질을 벗기는데, 폐를 치료할 때는 생것을 쓴다.

화주(華州)에서 나는 것은 목통처럼 한쪽 구멍에 입을 대고 바람을 불면 반대쪽 구멍으로 바람이 새어 나온다. 《입문》

 

방기는 혈 속의 습열을 사한다. 《동원》

 

 

방기

3. 주요성분과 관련 논문

방기의 주요 성분 : 알칼로이드 계열의 sinomenine, disinomenine, isosinomenine, magnoflorine, tuduranine 등

 

[관련 논문]

The involvement of magnoflorine in the sedative and anxiolytic effects of Sinomeni Caulis et Rhizoma in mice

(마우스에서 방기의 진정 및 항불안 효과에 대한 magnoflorine의 연관성)

J Nat Med. 2013 Oct;67(4):814-21

 

본 연구는 방기(SR)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진정 및 항불안 효과를 평가하고자 합니다.

 

이 추출물은 25, 50, 100, 200 또는 400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마우스에게 다양한 행동 테스트를 실시하여 물질의 진정(개방형 필드, 로타로드 및 티오펜탈 나트륨 유도 수면 테스트) 및 항불안(고도 플러스 미로 테스트)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SR (100, 200mg/kg)는 마우스의 운동 활동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로타로드 성능을 감소시키고, 티오펜탈 나트륨 유도 수면을 강화했으며, 이는 모두 진정 효과를 나타냅니다.

 

SR(50, 100mg/kg)은 또한 플러스 미로의 개방형 팔에서 진입 및 체류 시간이 증가하여 항불안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SR의 진정 및 항불안 효과는 벤조디아제핀인 디아제팜과 유사했다.

 

게다가 SR의 가능한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된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에서 세포 내 Cl⁻ 이온 유입이 관찰되었다.

 

SR은 Cl⁻ 유입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이는 GABAA 수용체 경쟁적 길항제인 비쿠쿨린과 함께 투여하여 차단되었다.

 

SR의 주요 성분 중에서 마그노플로린만이 Cl⁻ 유입에서 유사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역시 비쿠쿨린에 의해 차단되었다.

 

전체적으로, 현재 결과는 SR이 진정 및 항불안 효과가 있으며, 이는 아마도 GABA 작용 기전을 통해 마그노플로린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