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천골(川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천골은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개연꽃의 뿌리줄기를 천골이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민간적으로 이뇨, 부인병약으로 이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중국의 본초서인 [본초습유]에서는 천골이 동류로 평봉초근(萍蓬草根)이라는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고, 원식물이 개연꽃이라고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약물로써 허약체질자에게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부인병약으로써의 기재는 없었다고 하며, 비장허약을 개선하는 약재가 많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타박상 등에 진통소염제로써 사용되기도 하였는데요.
그럼, 천골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천골(川骨, Nupharis Rhizoma)
1) 기원 : 개연꽃의 뿌리줄기
2) 성미 : 성은 평(平), 미는 감삽(甘澁)
3) 효능 : 자양강장(滋養强壯), 건위(健胃), 조경(調經)
4) 주치 : 체허쇠약(體虛衰弱), 소화불량, 월경부조(月經不調)
5) 분포 : 한국, 일본
2. 개연꽃
천골은 개연꽃의 뿌리줄기로, 천골이라는 한약재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잘 사용하지는 않는 약재입니다.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천골에는 누파리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진통, 소염, 어혈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개연꽃은 일본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다년생 수생식물로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고 드문드문 잎이 떨어진 자국이 있스비다. 잎은 잎근경에서 나오는 잎은 물 위로 솟으며 장난형 혹은 장타원형이고 매끈하거나 혹은 약간 파형이며 잎자루는 녹색으로 튼튼합니다. 꽃은 긴 화경 위에 1송이씩 달리고 황색이며 꽃잎은 다수입니다. 열매는 둥글고 물 속에서 초록색으로 익으며, 연꽃에 비해 작아 개연꽃이라 불립니다.
3. 우절과의 차이점
우절(藕節)은 연꽃의 근경마디를 의미하며, 천골은 개연꽃의 근경마디를 의미합니다.
우절은 수렴지혈약으로 분류되어 산어(散瘀), 수렴지혈(收斂止血)하는 효능이 강해서 지혈약고 어혈약으로 사용되어 온 반면, 천골은 자양강장, 건위, 조경하는 효능으로 특히, 쇠약증상 등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에서 사용되는 용도가 구어혈(駆瘀血)이라고 한다면, 천골 대신 우절의 사용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4. 관련 논문
[논문제목]
Potent immunosuppressive principles, dimeric sesquiterpene thioalkaloids, isolated from nupharis rhizoma, the rhizoma of Nuphar pumilum (nymphaeaceae): structure-requirement of nuphar-alkaloid for immunosuppressive activity
(강력한 면역 억제 원리, 이중체 세스퀴테르펜 티오알칼로이드, 개연꽃의 근경인 천골에서 분리 : 면역억제 활동을 위한 nupharalkaloid의 구조적 필요성)
(Biol Pharm Bull, 1996 Sep;19(9):1241-3)
[Abstract]
강력한 면역억제제인 이량체 세스퀴테르펜 티오알칼로이드, 6-히드록시티오비누파리딘(2), 6,6'-디히드록시티오비누파리딘(3), 6-히드록시티오누플루틴 B(5) 및 6'-히드록시티오누플루틴 B(6)는 천연 의약품인 개연꽃의 근경인 천골에서 생물 검정 유도 분리를 통해 5가지 퀴놀리지딘 알칼로이드(8, 9, 10, 11, 12)와 함께 분리되었습니다.
이량체 세스퀴테르펜 티오알칼로이드(2, 3, 5, 6)는 10(-6) M 농도에서 마우스 비장 세포에서 anti-sheep erythrocyte plaque forming cell 형성을 상당히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농도에서 2, 5 및 6은 생쥐 비장 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3도 약간의 세포 독성만 보였습니다.
또한 여러 Nuphar 알칼로이드, 이량체 세스퀴테르펜 티오알칼로이드(1, 4, 7, 8) 및 단량체 세스퀴테르펜 알칼로이드(9, 10, 11, 12)의 항양 적혈구 플라그 형성 세포 형성에 대한 억제 활성을 검사하고 면역 억제 활성을 위한 Nuphar 알칼로이드의 일부 구조적 요구 사항을 결정했습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재 방풍 효능 알아보기 식방풍 갯기름나물 (0) | 2024.09.07 |
---|---|
한약재 방기 효능 알아보기 목방기 분방기 댕댕이덩굴 (0) | 2024.09.01 |
한약재 구기자의 효능 알아보기 (0) | 2024.07.02 |
한약재 백두옹 효능 알아보기 할미꽃 중국할미꽃 동강할미꽃 분홍할미꽃 (0) | 2024.06.07 |
한약재 복분자의 효능 알아보기 화동복분자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