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한약재 천마 효능 알아보기 Gastrodin의 작용

곰돌이규순 2024. 3. 13. 10:03

천마 main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의학에서 정신과 질환에 많이 사용되는 "천마(天麻)"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신 분들도 많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한약재로써는 굉장이 우수하고 좋은 효과가 많은 약재인데요.

 

그럼, 천마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마

 

1.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

1) 한의학적 분류 : 평간식풍약(平肝息風藥)

** 한의학에서 간은 위로 치받는 병증을 일으키기 쉬운 장부입니다. 증상으로 두통, 어지럼증, 고혈압 등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기원 : 천마의 괴경

** 괴경 : 괴경은 덩이모양을 이룬 땅속 줄기를 의미합니다. 모양이 변해서 뿌리로 오인할 수 있지만 줄기가 변형된 것입니다.

 

3) 성미 : 성은 온(溫), 미는 감신(甘辛)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맵다.)

 

4) 귀경 : 간(肝)

 

5) 효능 : 평간식풍(平肝息風), 식풍지경(熄風止痙)

(간의 과항진된 기능(위로 치받는 증상 등)을 풀어주어 풍증(어지럼증, 두통 등)을 제거하고, 풍증을 제거해서 경직된 증상도 풀어준다.) 

 

6) 주치 : 두통현훈(頭痛眩暈), 지체마목(肢體痲木), 소아경풍(小兒驚風), 전간추축(癲癎抽搐), 파상풍증(破傷風症)

(두통이나 어지럼증, 팔다리 몸부위의 운동감각이상, 어린아이의 경련증, 정신을 잃고 쓰러져 발작하는 증상, 상처에 파상풍균이 번식하여 근육경련성 마비, 통증이 일어나는 증상)

 

7)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네팔, 러시아 극동부, 부탄, 인도 북동부

 

 

절편 전 천마

 

2. 동의보감에서의 천마

1) 외형편 > 수(手 - 손)

主四肢拘攣. 水煎服, 或蒸熟食. 或生食幷佳. 《本草》

(사지의 경련에 주로 쓴다. 물에 달여 먹는다. 푹 쪄서 먹거나 생것으로도 먹는 데, 모두 좋다.)

 

2) 잡병편 > 풍(風 - 여기서는 어지럼증, 떨림, 경련 등을 의미)

治諸風痺, 癱瘓不遂. 其苗, 名定風草又名赤箭, 不爲風所動. 剉水煎服. 《本草》

(여러 가지 풍비(風痺)와 반신불수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경우를 치료한다. 천마의 싹은 정풍초(定風草) 또는 적전(赤箭)이라고 하는데 바람이 불어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3) 탕액편 > 초부 상(草部 上) > 적전(赤箭)

**적전은 천마의 어린 지상부를 의미합니다.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귀신들린 것과 요괴, 고독(蠱毒), 악기(악한 기운)를 없애고, 옹종을 삭이며, 산증(疝證)을 치료한다.

** 귀신, 요괴, 악기 등 내용이 과격하지만, 정신질환이 심해지면 섬망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천마의 싹이다.

싹이 한 줄기 화살대같이 돋아나고 잎이 그 끝에 자라난다.

줄기와 잎이 모두 붉기 때문에 적전(赤箭)이라고 한다.

3월과 4월에 싹을 뜯어 볕에 말린다.

이 풀은 바람 불 때는 흔들리지 않다가 바람이 없을 때 저절로 흔들린다.

 

이 식물은 풍을 치료하는데, 그 싹인 적전은 약성이 겉에서 속으로 들어가고, 뿌리인 천마는 약성이 속에서 겉으로 나온다.

 

4) 탕액편 > 초부 하(草部 下) > 천마

성질이 평(平)하고(차다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온갖 풍습비, 사지에 경련이 이는 것과 소아의 풍간과 경기에 주로 쓴다.

현훈, 풍간, 언어건삽과 잘 놀라고 낙담한 것을 치료한다.

근골을 강하게 하고 허리와 무릎을 부드럽게 한다.

 

적전(赤箭)의 뿌리이다.

생긴 모양이 오이와 비슷하고, 10~20개의 뿌리가 이어져 자란다.

2월, 3월, 5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싹을 정풍초(定風草)라고도 하는데, 따서 윤기가 있을 때 껍질을 벗겨 끓는 탕에 약간 데친 후에 볕에 말려서 보관한다.

단단한 것이 좋다.

 

모든 허증의 현훈은 이것이 아니면 없어지지 않는다.

 

 

 

3. 천마의 주요 성분 및 관련 논문

천마의 주요 성분은 페놀계열(phenolic)의 가스트로딘(gastrodin), 4-hyddroxybenzylalcohol, gastrol, parishin B 등이 있습니다.

 

천마의 주요 성분 중 가스트로딘에 대한 연구가 많은 편인데요.

 

가스트로딘(gastrodin)은 가스트로디게닌의 글루코사이드 화합물입니다,

 

주로, 천마와 갈레올라 파베리(galeola faberi)라는 식물의 뿌리줄기에서 분리되는 성분입니다.

 

재미있는 점은 가스트로딘은 정맥주사 후 15분이 경과하면 혈관뇌장벽(BBB)를 통과한다는 논문도 있는데요.

(참고 : Gastrodin and Vascular Dementia: Advances and Current Perspectives)

 

이런 점 때문에 신경정신과 질환에 많이 사용된 약재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논문제목]

A Review on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s of Gastrodin

(Front Pharmacol, 2018)

 

Gastrodia elata Blume 의 말린 뿌리줄기인 Rhizoma Gastrodiae ( 천마라고도 알려짐 )는 전통적으로 수 세기 동안 두통, 현기증, 경련, 간질, 뇌졸중, 기억상실증 및 기타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유명한 중국 약초입니다. 

 

페놀성 글리코사이드인 가스트로딘(Gastrodin)은 Rhizoma Gastrodiae 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입니다 . 

 

1978년에 확인된 이후, 가스트로딘은 약리학적 특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조사되었습니다. 

 

이 기사에서 우리는 간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서 장애, 뇌 허혈/재관류, 인지 장애를 포함한 CNS 장애의 전임상 모델에서 가스트로딘의 중추신경계(CNS) 효과와 관련된 기본 메커니즘을 검토했습니다.

 

가능하다면 약리학적 활동을 뒷받침하는 임상 데이터. 가스트로딘의 출처와 약동학도 여기에서 검토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가스트로딘은 위에서 언급한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해 광범위한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작용 메커니즘에는 신경전달물질 조절, 항산화, 항염증, 소교세포 활성화 억제, 미토콘드리아 폭포 조절, 신경영양 호르몬 상향 조절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신경 장애 치료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자세한 임상 시험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논문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