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 이수 작용이 강해서 이뇨작용이 필요한 경우 주로 사용되는 처방인 오령산의 중요 약재 중 하나인 복령(茯苓)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복령은 특히 소변불리나 수종을 제거하고 또한 진정작용이 있다고도 알려져 있는데요.
때문에 카페인 등으로 인한 흥분상태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럼 한약재 복령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복령(茯苓, Poria Sclerotium)
복령은 "적복령 백복령 복령피 복신"의 4가지로 나뉘게 되므로 나누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밖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면 "복령피 > 적복령 > 백복령 > 복신" 순서)
1) 백복령 (茯苓, Poria Sclerotium)
① 한의학적 분류 : 리수삼습약(利水渗濕藥)
② 기원 : 복령(Poria cocos)의 균핵
③ 성미 : 성은 평(平)하고, 미는 감담(甘淡)
④ 귀경 : 심(心), 폐(肺),비(脾), 신(腎)
⑤ 효능 : 이수삼습(利水滲濕), 건비녕심(健脾寧心)
(수액대사를 원활히 하고 습을 제거하고 비장을 건강하게 하고 심장을 편안하게 한다.)
⑥ 주치 : 수종요소(水腫尿少), 담음현계(痰飮眩悸), 비허식소(脾虛食少), 변당설사(便溏泄瀉), 심신불안(心神不安), 경계실면(驚悸失眠)
(수종으로 소변이 적은 경우, 담음이 있거나 어지럽고 두근거리는 경우, 비장이 허하여 식사량이 적은 경우, 변이 질퍽하고 설사하는 경우, 심신이 불안한 경우, 두근거려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⑦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2) 적복령 (赤茯苓)
① 한의학적 분류 : 리수삼습약(利水渗濕藥)
② 기원 : 복령의 피층 아래 담홍색 부분
③ 성미 : 성은 평(平)하고, 미는 감담(甘淡)
④ 귀경 : 심(心), 비(脾), 방광(膀胱)
⑤ 효능 : 영심안신(寧心安神), 이수(利水)
(심을 편안하게 하고 신 역시 편안하게 하며 수액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⑥ 주치 : 소변불리(小便不利), 임탁(淋濁), 사리(瀉痢)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경우, 소변이 방울지고 탁한 경우, 설사 혹은 이질)
⑦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3) 복령피 (赤茯皮, Poriae Cutis)
① 한의학적 분류 : 리수삼습약(利水渗濕藥)
② 기원 : 복령의 외피
③ 성미 : 성은 평(平)하고, 미는 감담(甘淡)
④ 귀경 : 심(心), 비(脾), 신(腎)
⑤ 효능 : 이수소종(利水消腫)
(수액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종양을 없앤다.)
⑥ 주치 : 피부수종(皮膚水腫)
⑦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4) 복신 (赤茯皮, Poriae Sclerotium cum Pini Radix)
① 한의학적 분류 : 리수삼습약(利水渗濕藥)
② 기원 : 복령의 균핵으로 속에 소나무 뿌리를 감싸고 있는 것
③ 성미 : 성은 평(平)하고, 미는 감담(甘淡)
④ 귀경 : 심(心), 비(脾)
⑤ 효능 : 영심안신(寧心安神), 이수(利水)
(심과 신을 편안하게 하고 수액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⑥ 주치 : 심허경계(心虛驚悸), 건망(健忘), 실면(失眠), 경간(驚癎), 소변불리(小便不利)
(심장이 허해서 놀라고 두근거리는 증상, 건망증, 잠을 못자는 불면증, 놀라며 발작하는 간질,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경우)
⑦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2. 동의보감에서의 복령
1) 내경편 > 신형(身形)
久服, 不飢, 延年, 却老. 取白茯苓, 合白菊花, 或合白朮, 丸散任意, 皆可常服. 又法, 白茯苓去皮, 酒浸十五日, 漉出搗爲末, 每服三錢, 水下日三. 久服, 延年, 耐老, 面若童顔. 《本草》
(오래 복용하면 배가 고프지 않고 수명이 늘어나며 늙지 않는다. 백복령을 흰 국화나 백출과 합쳐서 환제나 산제로 임의대로 만들어 늘 먹을 수 있다. 또는 백복령의 껍질을 벗기고 술에 15일 동안 담근 후 걸러서 찧어 가루내어 3돈씩, 하루에 3번 물에 타서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수명이 늘어나고 늙지 않으며 얼굴이 동안이 된다.)
2) 내경편 > 정(精) > 백복령
酒浸, 與光明砂同用, 能秘精. 《東垣》《湯液》
(술에 담갔다가 광명사와 함께 쓰면 정을 잘 간직할 수 있다.)
** 광명사(光明砂) : 주사(朱砂)를 의미함
治心虛夢泄. 白茯苓細末, 每四錢, 米飮調下, 日三. 《直指》
(심허(心虛)로 인한 몽설을 치료한다. 백복령을 곱게 갈아 하루에 3번, 4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3) 내경편 > 진액(津液)
止自汗盜汗. 取爲末, 以烏梅, 陳艾煎湯, 調下二錢. 《得效》
(자한과 도한을 멎게 한다. 가루내고 오매와 묵힌 쑥 달인 물에 2돈씩 타서 먹는다.)
** 자한(自汗) : 식은 땀 처럼 까닭없이 땀이 나는 경우
** 도한(盜汗) : 자고 있을 때 땀이 나는 경우
4) 내경편 > 소변(小便)
治五淋, 主小便不通, 利水道. 煎服, 末服幷佳. 《本草》
(오림을 치료하고 소변불통에 주로 쓰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데 모두 좋다. )
** 오림(五淋) : 열림(熱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기림(氣淋), 석림(石淋)의 5가지 임병
** 임병(=임증) : 오줌을 누려고 하나 잘 나오지 않고 요도와 아랫배가 아픈 병을 의미함
5) 내경편 > 습(濕)
淡能利竅, 甘以助陽氣, 除濕之聖藥也. 仙方有服餌之法, 修製久服爲佳. 《本草》
(담담한 맛은 구멍을 잘 통하게 하고, 단맛은 양기를 도와주니 습을 제거하는 성약이다. 선방에는 약이로 먹는 방법이 있는데, 수치하고 법제하여 오래 먹는 것이 좋다.)
6) 탕액편 > 목부(木部) > 복령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식욕을 돋우고 구역을 멎게 하며 마음을 안정시킨다.
폐위로 담이 막힌 데 주로 쓴다.
신사를 내쫓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수종과 임병으로 오줌이 안 나가는 것을 잘 나오게 하고 소갈을 멎게 하며, 건망을 치료한다.
선경의 복식에서도 아주 중요하게 여겨, "복령은 신령과 통하게 하고 혼백을 조화시키며, 구규를 잘 통하게 하고 살찌우며, 장을 튼튼하게 하고 심을 열며, 영을 고르게 하고 위장을 다스리는 상품의 약재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을 먹으면 곡기를 끊어도 배고프지 않을 수도 있다.
산 속에서 나는데, 어디에나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1000년이 지나면 복령이 되는데, 이 중 소나무 뿌리를 둘러싼 가볍고 푸석푸석한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2월과 8월에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3~4되 크기만 하고 겉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단단하고 희면서 새, 짐승, 거북이, 자라같이 생긴 것이 좋다.
흰 것과 붉은 것 2종류가 있다.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붉은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수소음경에 들어간다.
흰 것은 임계(壬癸)에 들어가고, 붉은 것은 병정(丙丁)에 들어간다고 한 곳도 있다.
흰 것은 보하고, 붉은 것은 사한다.
** 복령비와 적복령은 리수, 리습작용이 강하고, 백복령은 건비, 복신은 녕심안신 작용이 강하다.
쓸 때는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어 수비해서 떠오른 붉은 막들을 제거하고 볕에 말려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에게는 쓰면 안 된다.
7) 탕액편 > 목부(木部) > 복신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풍현, 풍허(風虛)를 치료하고, 놀라서 두근거리는 것을 멎게 한다.
건망을 치료하고 심을 열어 지혜를 더하며, 혼백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보양하며, 마음을 안정시킨다.
경간에 주로 쓴다.
복령은 오래 전에 베어낸 소나무의 뿌리에서 자라는데, 뿌리의 기미가 끊어지지 않고 맺혀서 복령이 된다.
그 진기(津氣)가 성한 것은 밖으로 흘러 나와 맺혀서 복령이 되고, 진기(津氣)가 있으나 그다지 성하지 않은 것은 뿌리에만 맺혀서 복신이 된다.
소나무를 베면 싹이 다시 나지는 않지만 그 뿌리는 살아 있는데, 그 진액이 아래로 흘러 복령과 복신이 생긴다.
이런 까닭에 심신을 치료하거나 진액을 통하게 한다.
3. 복령의 주요 성분 및 관련 논문
복령의 주요 성분은 다당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계열의 pachymic acid, eburicoic acid, tuulosic acid 등이 있습니다.
복령 다당류는 항산화, 면역 조절, 신경 조절 등에 도움을 줍니다. (아래 논문 참조)
트리테르페노이드는 헤테로 원자를 갖는 트리테르펜(triterpene)이 정의이지만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트리테르페노이드는 6개의 이소프렌 단위로부터 생합성적으로 형성되며 C30 비고리 전구체 스쿠알렌을 공유합니다 . 스쿠알렌의 다양한 고리 폐쇄 유형은 다양한 골격 유형의 트리테르페노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트리테르페노이드의 잠재적인 생물학적 활성에는 항염증제, 항균제, 항진균제, 진통제, 면역조절제, 강심제가 포함되지만, 일부 트리테르페노이드는 용혈성 및 세포 증식 억제 특성으로 인한 치료상 단점이 있어 독성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 ScinceDirect 참조)
[참고논문]
Chemical structures, extraction and analysis technologies, and bioactivities of edible fungal polysaccharides from Poria cocos: An updated review (ScinceDirect 논문)
(복령의 식용진균다당류의 화학구조, 추출 및 분석기술, 생리활성 : 최신 리뷰)
복령은 인기 있는 약용 식품입니다.
다당류는 건조 경화증 덩어리의 70~90%를 구성하는 복령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복령 다당류(PCP-C)에는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과 용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및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문헌 검색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리뷰를 위해 우리는 화학 구조, 다양한 추출 및 분석 기술, PCP-C의 생체 활성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통찰력에 대한 최신 연구 진행 상황을 제공했습니다.
복령에서 확인된 주요 다당류는 수용성 다당류와 산성 다당류입니다.
뜨거운 물, 알칼리, 초임계 유체 , 초음파, 효소 및 심층 공융 용매 기반 방법은 PCP-C 추출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근적외선 분광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자외선-가시 분광광도법과 같은 기술은 일반적으로 PCP-C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PCP-C는 항산화, 면역 조절, 신경 조절, 항암 , 간 보호 및 장내 미생물 조절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추출 규모 확대 , 품질 관리 강화, 생물 활성 메커니즘 규명 , 식품 산업에서의 PCP-C 활용에 초점을 맞추려면 향후 연구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복령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지닌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 식용 곰팡이 다당류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향의 효능 알아보기 운목향 토목향 청목향 천목향 (0) | 2024.03.08 |
---|---|
한약재 치자의 효능 알아보기 (0) | 2024.03.04 |
후박의 효능 알아보기 다른 약제와의 시너지 (0) | 2024.03.02 |
한약재 백출의 효능 알아보기 (0) | 2024.03.01 |
한약재 창출의 효능 알아보기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