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방 소화제나 습담을 제거하는 한약 또는 다이어트 한약에도 자주 사용되어지는 창출(蒼朮)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창출은 특히 소화기에 관련된 한약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약재인데요.
창출이 들어간 대표적인 처방에는 대표적인 한방 소화제 "평위산"과 5가지 적체를 풀어준다는 "오적산" 등이 있습니다.
그럼 창출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창출(蒼朮, Atractylodis Rhizoma)
1) 한의학적 분류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2) 기원 : 모창출 또는 북창출의 근경 (또는 가는잎삽주 또는 만주삽주의 근경)
3) 성미 : 비(脾), 위(胃), 간(肝)
4) 귀경 : 비(脾), 위(胃)
5) 효능 : 조습건비(燥濕健脾), 거풍산한(祛風散寒), 명목(明目)
(비장을 말려주고 비장을 건강하게 하며, 풍사를 제거하고 한사를 흩어지게 하며, 눈을 밝게 합니다.)
**비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비장의 습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는 비만이나 과다한 지방섭취 등 다양한 부분을 통칭하며 창출이 이러한 부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6) 주치 : 완복창만(脘腹脹滿), 설사(泄瀉), 수종(水腫), 각기위벽(脚氣痿躄), 풍습비통(風濕痺痛), 풍한감모(風寒感冒), 야맹(夜盲)
(배가 창만한 증상, 설사, 수종, 다리에 힘이 없고 저리고 걷지를 못하는 경우, 풍습으로 인한 저림 또는 통증, 풍한사에 의한 감기, 야맹증)
**창출은 건조해지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습으로 인한 질병일 경우 처방에 의해서 복용하셔야 하며, 트기 음허한 분들이 달인 물 등으로 장기간 복용하는 약재가 아닙니다.
7) 분포
① 모창출 : 한국, 중국의 중남부, 일본
② 북창출 : 한국, 중국의 북부
2. 동의보감에서의 창출
1) 내경편 > 담음(痰飮)
消痰水. 能治痰飮成窠囊極效, 卽上神朮丸也. 性燥能勝濕. 《本草》
담수(痰水)를 없앤다. 담음으로 낭종이 생긴 것을 치료할 때 아주 효과적이다. 앞의 신출환이 이런 것이다. 성질이 조(燥)하여 습을 이긴다.
2) 내경편 > 비장(脾臟)
健脾燥濕. 米泔浸一宿, 剉乾. 末服, 煎服皆佳. 《本草》
비를 든든하게 하고 습을 말린다. 쌀뜨물에 하룻밤 담갔다 썰어서 말린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는 데, 모두 좋다.
3) 내경편 > 위부(胃腑)
强胃, 去胃中濕. 或煎, 或丸, 或末服皆佳. 《本草》
위를 튼튼하게 한다. 위 속의 습을 없앤다. 달여 먹거나 환으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데, 모두 좋다.
4) 내경편 > 대변(大便)
治傷濕泄瀉, 或合茯苓, 或合芍藥, 每五錢, 水煎服之. 若傷風泄瀉, 合防風, 水煎服之. 《湯液》
(습에 상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복령이나 작약과 합하여 5돈씩 물에 달여 먹기도 한다. 만약 풍에 상하여 설사하면 방풍과 합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5) 외형편 > 안(眼)
治內外障. 蒼朮四兩剉, 靑鹽一兩同炒黃去鹽, 木賊二兩童便製. 同爲末, 每一錢溫米泔調下, 日二三, 最驗, 名鹽朮散. 《直指》
내장(內障)과 외장(外障)을 치료한다. 창출 4냥(썰어서 청염 1냥과 함께 누렇게 볶은 후 청염을 제거한 것), 목적(동변에 법제한 것) 2냥. 이 약들을 함께 가루내어 1돈씩 하루에 2-3번 따뜻한 쌀뜨물에 타서 먹으면 가장 효과가 좋다. 이것을 염출산이라 한다.
治雀目. 蒼朮末三錢, 猪肝二兩, 批開糝藥, 麻線縛定, 粟米一合, 水一椀, 煮熟, 取以熏眼, 後喫之大效.
야맹증을 치료한다. 창출 가루 3돈을 저간(猪肝) 2냥 속에 넣고 삼끈으로 묶는다. 이것을 좁쌀 1홉과 함께 물 한 사발에 넣고 푹 달여 그 증기를 눈에 쐰 후 먹으면 큰 효과가 있다.
6) 잡병편 > 습(濕)
治濕, 上下部, 皆可用. 《丹心》
습을 치료한다. 상부와 하부의 습에 모두 쓸 수 있다.
上焦濕, 用蒼朮, 其功甚烈. 《東垣》
상초의 습에는 창출을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
能治山嵐瘴氣. 《東垣》
산람장기를 치료할 수 있다.
或湯或散或酒浸, 常服最妙. 《本草》
탕제로 먹거나 산제로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늘 먹으면 가장 묘한 효과가 있다.
兩朮皆可服.
백출과 창출을 모두 먹을 수 있다.
3. 창출의 약리적 검토 논문
<논문제목>
Atractylodis Rhizoma: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toxicology and quality control (2021)
1) 민족약리학적 관련성
창출은 다양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와 약학적으로 중요한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동아시아서 류마티스 질환, 소화장애, 야맹증 및 인플루엔자 치료를 위한 이뇨제 및 위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2) 리뷰의 목적
창출의 식물학, 전통적 용도, 식물화학, 약리학, 독성학 및 품질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요약이 제시되어 이 식물의 미래 치료 잠재력과 과학적 잠재력을 탐구했습니다.
3) 재료 및 방법
문헌 검토는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 Baidu Scholar, Springer, PubMed, ScienceDirect, CNKI 등의 과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수행되었으며, 식물 분류는 "The Plant Lis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었습니다.
4) 결과
200개 이상의 화학 화합물, 특히 세스퀴테르페노이드와 알킨 등이 창출에서 분리되었습니다.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위장 기능을 개선하여 창출의 전통적인 용도를 대부분 주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5) 결론
창출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지만 여전히 격차가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분자 메커니즘, 구조-활성 관계, 잠재적인 시너지 효과 및 길항 효과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약 물질의 품질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TCM의 동일한 약리단을 기반으로 한 약력학적 물질의 "유효 형태" 및 "부가 효과"에 대한 이해, 생체 내 독성 및 임상 효능, 그리고 장기간의 측면에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됩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박의 효능 알아보기 다른 약제와의 시너지 (0) | 2024.03.02 |
---|---|
한약재 백출의 효능 알아보기 (0) | 2024.03.01 |
작약 효능 알아보기 a.k.a 적작약 백작약 (0) | 2024.02.27 |
천궁 (토천궁, 일천궁) 효능 알아보기 (0) | 2024.02.26 |
"여성의 인삼" 당귀의 성미 효능 알아보기 (골다공증에도 좋다고?)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