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 삽정약에 포함되는 산수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1) 한의학 분류 : 삽정약(澁精藥)
**한의학에서 정(精)이란 물질의 근원, 에너지의 근원을 이야기 하며, 삽정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물질이나, 에너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주는 약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능적 요소 때문에 산수유가 신장질환에 좋다라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2) 기원 : 산수유의 잘 익은 열매
3) 성미 : 성은 미온(微溫)하고, 미는 산삽(酸澁)
4) 귀경 : 간(肝), 신(腎)
5) 효능 : 보익간신(補益肝腎), 삽정고탈(澀精固脫).
(간장과 신장을 보익해 준다. 정이 나가지 않게 해주고 빠져나가는 것을 단단하게 고정해준다.)
6) 주치 : 현훈이명(眩暈耳鳴), 요슬산통(腰膝酸痛), 양위유정(陽痿遺精), 유뇨(遺尿), 요의빈삭(尿意頻數), 붕루(崩漏), 대하(帶下), 대한허탈(大汗虛脫), 내열소갈(內熱消渴)
(어지럼증, 이명, 무릅이 시큰하고 아픈 증상, 성욕감퇴나 정액이 새는 증상, 소변실금, 소변횟수가 많아지는 증상, 여성 성기에서의 대량 출혈, 여성 생식기의 분비물이 많은 경우, 크게 땀이 나고 허탈해지는 경우, 안에 열이 있으면서 당뇨증상 )
7) 금기 : 명문화치(命門火熾)로 양강불위(陽强不痿)와 평소에 습열이 있어 소변이 불리한 자는 복용을 피한다.
**즉, 성욕이 지나치게 과한 사람이나 습열이 실증인 경우에 사용하지 않음
**결국, 산수유는 허열증상 + 정기허한 증상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8)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부, 일본
2. 동의보감에서의 산수유
1) 내경편 > 정(精)
添益精髓, 能秘精. 煎服, 丸服, 幷佳. 《本草》
(정과 골수를 보익하고 정을 간직하게 한다. 달여 먹가나 환으로 만들어 먹거나 모두 먹기 좋다.)
2) 내경편 > 간장(肝臟)
溫肝. 末服, 煮服佳. 《本草》
(간을 따뜻하게 해준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으면 좋다.)
3) 내경편 > 신장(腎臟)
補腎添精, 煖水藏, 澁精氣. 或丸服, 或煮服. 《本草》
(신을 보하고 정을 더해 주며, 신을 따뜻하게 하고 정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막는다. 환으로 먹거나 달여 먹는다.)
4) 내경편 > 소변(小便)
止小便滑數, 又療老人尿不節. 煎服, 丸服幷佳. 《本草》
(소변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노인이 소변을 정상적으로 못 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환으로 만들어 먹는데 모두 좋다.)
5) 외형편 > 두(頭)
主頭風, 腦骨痛. 又治肝虛眩暈, 乃肝藏藥也. 煎服之. 《本草》
(두풍과 머리뼈가 아픈데 주로 쓴다. 또 간허로 인한 현훈에도 쓰니 간장(肝臟)의 약이다. 달여서 먹는다.)
6) 탕액편 > 목부(木部)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떫으며 독이 없다.
음(陰)을 강하게 하고 정을 보하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발기를 돕는다.
음경을 단단하면서 커지게 하고 정수를 채우며,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고 수장(水藏)을 보한다.
소변이 잦은 것과 노인이 소변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두풍ㆍ코막힘과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살은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고 정이 새는 것을 막지만, 씨는 정이 새어 나가게 하니 뺀다.
**산수유는 씨를 제거하고 과실부분만 써야 한다고 하였다.
동의보감을 떠나서 산수유는 한의학을 관통하는 처방 중 하나인 "육미지황환"의 6가지 약재 중 하나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숙지황 8냥, 산약ㆍ산수유 각 4냥, 택사ㆍ목단피ㆍ백복령 각 3냥.
혈허로 음이 쇠했을 때는 숙지황을 군약으로 삼는다.
정활(精滑)에는 산수유를 군약으로 삼는다.
소변이 많거나 적거나, 붉은색이나 흰색일 때는 복령을 군약으로 삼는다.
소변이 찔끔찔끔 나오거나 잘 나오지 않을 때는 택사를 군약으로 삼는다.
심기(心氣)가 부족하면 목단피를 군약으로 삼는다.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면 산약을 군약으로 삼는다.
3. 산수유의 화학성분 및 약리적 활성 검토
오늘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의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Corni Fructus: a review of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산수유 : 화학 성분 및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검토)
1) 배경
산수유는 2200여년 전, "신농본초경"에 처음 기록되었습니다.
중국 전통의학에 의하면 산수유는 크게 4가지 카테고리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는데요.
첫 번째, 간 및 신장 결핍으로 인한 현기증, 이명, 허리 및 무릎 약화
두 번째, spermatorrhea(정자루), polydipsia(다음증)
세 번째, 월경과다
네 번째, 식은 땀이 나고 안색이 창백하며 팔다리가 차갑고 맥박이 약해지는 증상
2) 화학성분
산수유는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다당류, 페닐프로파노이드, 스테롤, 카르복실산, 푸란 및 미네랄 물질을 포함하는데요.
그 중 이리도이드(iridoids), 탄닌(tannin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됩니다.
3)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수유의 약리적 활동
① 혈당강하작용 및 당뇨병 표적장기 보호작용
② 항산화 활성
③ 항염증 활성
④ 신경보호 활동 등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기의 기원 특징 효능 등 알아보기 (0) | 2024.02.22 |
---|---|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의 효능 그리고 구증구포에 대하여 (0) | 2024.02.21 |
모과의 효능에 대한 정리 (0) | 2024.02.15 |
갈근의 효능에 대한 정리 (0) | 2024.02.13 |
폐의 노화의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진피 (0)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