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갈근의 효능에 대한 정리

곰돌이규순 2024. 2. 13. 15:50

 

갈근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히 "칡"이라고 알려진 "갈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갈근은 과거 우리의 일상생활의 먹거리로서 뿐만 아니라, 약물로써도 이용되어 왔습니다.

 

과거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못했을 때에는 칡의 전분을 이용하여 막국수를 만들어 먹기도 했구요.

 

요즘에는 건강 식품으로 인기를 끌게 되어 칡차 등을 애용하시는 분들도 많고, 또한 숙취에 칡꽃을 달여 복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이렇게 다양하게 애용되고 있는 갈근, 그렇다면 갈근의 효능과 조금 더 세부적인 용도를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칡(야생 갈근)

1.갈근(葛根 , Puerariae Radix)

1) 한의학적 분류 : 신량해표약

 

2) 기원 : 칡의 뿌리

 

3) 성미 : 성은 양(涼)하고, 미는 감신(甘辛)

 

4) 귀경 : 비(脾), 위(胃)

 

5) 효능 : 해기퇴열(解肌退熱), 생진(生津), 투진(透疹), 승양지사 (升陽止瀉)

(피부와 근육을 풀어주고 열을 물리친다. 진액을 만들어 주고, 두드러기 등을 없애주며, 양기를 올려주고 설사를 그치게 한다.)

 

6) 주치 : 외감발열두통(外感發熱頭痛), 항배강통(項背强痛), 구갈(口渴), 소갈(消渴), 마진불투(麻疹不透), 열리(熱痢), 설사(泄瀉), 고혈압으로 인한 경항강통(頸項强痛)

 *갈근은 근육경련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서 감기로 머리 뒷부분이 아프고 당길 경우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6) 분포 : 동아시아 전체 및 동남아시아, 호주 등

 

7) 주요 성분 : 전분, 이소플라본 계열 다이아진, 퓨에라린

 

**금기사항 : 위한구토자 (胃寒嘔吐者)와 표허한다자(表虛汗多者)는 복용을 피하고, 위기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 많이 먹는 것(多服)은 삼가해야 합니다.

 

 

2.동의보감에서의 갈근

1) 내경편 > 진액

解肌, 發表, 出汗, 開腠理. 水煎服之. 《本草》

(기부를 풀어주고 밖으로 발산시키며 땀을 내주고 주리를 열어준다. 물에 달여 먹는다.)

 

2) 내경편 > 위부(胃腑)

開胃下食, 解酒毒. 水煎服, 或水飛澄取粉, 和水服. 《本草》

(입맛을 돋우고 음식을 내려보내며 주독을 푼다. 물에 달여 먹거나, 수비하여 가루를 모아서 물에 타서 먹는다.)

 

3) 외형편 > 두(頭)

主傷寒中風頭痛, 煎服之. 《本草》

(상한중풍으로 인한 두통에 주로 사용한다. 달여서 복용한다.)

 

陽明經頭痛藥也. 《湯液》

(양명경의 두통약이다.)

 

 

3.여성에게 좋은 칡 뿌리, '갈근'

[여성에게 좋은 칡 뿌리, '갈근] 해당 기사에 의하면,

1) 갈근은 70%가 수분, 그 밖에 당분, 섬유질, 단백질, 철분, 인, 비타민과 다이드제인 등이 포함됨

 

2) 갈근은 한방에서 감기, 두통, 땀이 잘 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증상, 당뇨병, 설사, 이질 등에 약재로 사용되어 옴

 

3) 갈근에 풍부한 다이드제인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 안면홍조, 발열,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고 함 (갈근의 다이드제인 함유량은 콩의 30배, 석류의 626배)

 

다이드제인(Daidzein)

다이드제인은 대두 및 기타 콩류에서만 발견되는 자연 발생 화합물이며 구조적으로 이소플라본으로 알려진 화합물입니다. 다이드제인과 기타 이소플라본은 2차 대사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경로를 통해 식물에서 생산되어 신호 운반체 및 병원성 공격에 대한 방어 반응으로 사용됩니다. 인간의 경우 폐경기 완화, 골다공증, 혈중 콜레스테롤 위험을 낮추는 약재로 가능성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