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몽화 (密蒙花)
1.명칭 및 성미, 귀경, 주치
영문명 : Buddleja officinalis
성미는 성은 미한(微寒)하고 미는 감(甘)하다.
귀경은 간.
거풍청열하고, 윤간명목, 퇴예, 목적종통 등을 주치하므로,
예로부터 눈병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2.논문 내용
오늘 공부하고자 하는 논문은
Buddleja officinalis Maxim.: A review of its botany,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potential for ophthalmic diseases
이라는 2024년 논문이다.
"밀몽화 : 식물학, 민족약리학, 식물화학, 약리학 및 안과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에 대한 검토"라는 제목의 논문이다.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Maxim. (B. officinalis))는
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의 아열대 및 열대 지역에 자생하는
다년생 관목이다.
밀몽화의 약재형태는
다수의 꽃봉오리가 밀집되어 있는 화서로 작은 가지에 붙어 있는 형태이고
길이가 1.5~3cm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갈황색으로 융모로 덮여 있다.
한 꽃보오리는 짧은 곤봉모양으로 상단은 약간 팽대하며 길이 0.3~1cm,
직경 0.1~0.2cm이다.
자주 사용되는 임상환경은
안구건조증, 결막염, 궤양 및 통증 등의 다양한 안구질환이다.
또한, 기침, 천식, 객혈 및 백내장 치료에도 다른 약재와 같이 사용된다.
밀몽화를 차로 섭취하면 안구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시각적 피로를 줄이며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고 한다.
밀몽화에서 확인된 화합물은 80여가지로 주로,
플라보노이드, 페닐에타노이드, 트리테르페노이드 및 모노테르펜 등이다.
밀몽화 유래 추출물 및 화합물은 항안구건조증, 항염증, 항산화, 항당뇨병, 항비만, 골다공증 개선, 피부질환 치료 등 광범위한 약리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되었다.
3.동의보감의 예
다음은 밀몽화가 동의보감에서 사용된 예를 살펴보자.
탕으로는 크게 2가지 처방이 있다.
1)밀몽화산
治十六般內障, 多年昏暗. 密蒙花 二兩, 羚羊角ㆍ蠐螬卽桑蠹也ㆍ人參ㆍ覆盆子ㆍ地膚子ㆍ枸杞子ㆍ甘草 各一兩, 茺蔚子ㆍ菥蓂子ㆍ甘菊ㆍ槐花 各五錢. 右爲末, 每二錢, 米飮調下. 《得效》
16가지 내장으로 여러 해 동안 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2냥, 영양각, 제조, 인삼, 복분자, 지부자, 감초 각 1냥, 충울자, 석명자, 감국, 괴화 각 5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2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득효>
2)국방밀몽화산
治風眼, 昏暗多淚, 幷暴赤腫. 密蒙花ㆍ白蒺藜(炒)ㆍ羌活ㆍ木賊ㆍ甘菊ㆍ石決明 各等分. 右爲末, 每一錢, 茶淸調下. 《局方》
풍안으로 눈이 어둡고 눈물이 많으며, 갑자기 벌겋게 붓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백질려, 강활, 목적, 감국, 석결명 각각 같은 양. 이 약들을 가루내어 1돈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 <국방>
동의보감에서의 예에서도
밀몽화는 확실히 안구질환에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소엽과 자소자의 효능 (0) | 2024.02.06 |
---|---|
장내 환경 변화를 통해 설사 증상을 개선하는 계지의 효능 (0) | 2024.02.06 |
대사증후군 치료제로서의 곤포 (0) | 2024.02.06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유용한 황금과 황련 (0) | 2024.02.06 |
병풀 적설초와 건선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