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용의 눈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한약재, "용안육(龍眼肉)"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용안은 열대 과일의 하나로 리치, 바나나, 파인애플과 함께 중국 화남 지방의 4대 진과(珍果, 보배스러운 과일)이라고 하는데요.
용안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과일의 껍질을 벗길 때 검은 씨앗이 동공과 홍채처럼 반 투명한 과육사이로 비치는 것이 용의 눈과 같다고 여겨져서 붙혀졌다고 합니다.
그럼 맛 좋은 한약재 "용안육"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용안육(龍眼肉, Longan Arillus)
1) 한의학적 분류 : 보혈약(補血藥)
2) 기원 : 무환자나무과 용안의 가종피
** 가종피 : 종자의 표면을 덮고 있는 껍질
3) 성미 : 성은 온(溫), 미는 감(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4) 귀경 : 심(心), 비(脾)
5) 효능 : 보익심비(補益心脾), 양혈안신(養血安神)
(심과 비의 기능을 보하고 더하며, 혈을 기르고 신을 편안하게 한다.)
6) 주치 : 기혈부족(氣血不足), 심계정충(心悸怔忡), 건망실면(健忘失眠), 혈허위황(血虛萎黃)
(기와 혈이 부족한 경우, 가슴 두근거림이 심한 경우, 건망이 있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혈이 부족하여 얼굴이 누렇게 되는 경우)
7) 분포 : 중국(광둥, 광시, 윈난, 하이난), 뉴기니,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등
2. 동의보감의 용안육
1) 탕액편 > 과부(果部)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오장의 사기(邪氣)에 주로 쓴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고독(蠱毒)과 삼충(三蟲)을 제거한다.
약미(藥味)가 비(脾)에 들어가 지혜롭게 할 수 있다.
여지와 마찬가지로 서남 지방에서 난다.
빈랑과 비슷한데 조금 작다.
살은 여지보다 적지만 맛이 달아서 먹을 만하다.
** 여지(荔枝) : 열대과일 리치를 의미함
용의 눈알처럼 생겨서 용안(龍眼)이라고 이름하였다.
원안(圓眼) 또는 익지(益智)라고도 한다.
생것으로 먹으면 여지보다 맛이 못하여 여지노(荔枝奴)라고도 한다.
3. 용안육의 주요 성분과 관련 논문
[논문제목]
Potential of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in functional food: A review of molecular mechanism-directing health benefit properties
(Food Chemistry, 2024)
[초록]
용안( Dimocarpus longan Lour.)은 영양적, 경제적, 의학적 가치를 지닌 치료용 식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폭넓은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과일, 씨앗, 과피, 꽃은 만성 질환이나 하위 건강 상태를 목표로 하는 경우 건강 유지를 위한 식이 도구가 됩니다.
최근에는 용안과 인간 건강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강화되었으며, 폴리페놀, 다당류, 안지오텐신-I 전환 효소(ACE) 억제 펩타이드,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을 포함한 전체 과일의 고부가가치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메일라드 반응 생성물 등은 만성 질환 및 암 발병을 예방하고 장의 항상성 유지 및 피부 건강을 유지함으로써 인간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롱안에서 식물화학물질의 생리활성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이용 가능한 증거를 검토 및 요약하고 건강 영향의 분자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춰 롱안 생리활성 화합물과 건강상의 이점 사이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교의 효능 알아보기 의성개나리 당개나리 (0) | 2024.03.24 |
---|---|
한약재 원지의 효능 알아보기 두메애기풀 (0) | 2024.03.23 |
향부자의 효능 알아보기, 여성 질환의 대표 약재 (0) | 2024.03.19 |
맥문동의 효능 알아보기 소엽맥문동 (0) | 2024.03.17 |
신이의 효능 알아보기 목련 백목련 무당목련 망춘화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