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7

자소엽과 자소자의 효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온해표약(발산풍한약)으로 분류되는 "자소엽(紫蘇葉)"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자소(紫蘇)의 분류와 특징 "자소"는 부위에 따라서 2가지 약재로 사용됩니다. 자소엽은 차즈기 또는 주릅소엽의 잎(또는 어린가지가 달린 것)을 말린 것이고, 자소자는 차즈기 또는 주름소엽의 열매를 의미합니다. 차즈기와 주름소엽은 한국, 중국, 일본의 대부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인데요. 차즈기는 주름소엽에 비해서는 다소 남부에 분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자소엽 (紫蘇葉, Perillae Folium) 자소엽의 성질는 온(溫)하고, 맛은 신(辛)하며, 귀경은 폐(肺), 비(脾)입니다. 효능은 해표산한(解表散寒), 행기화위(行氣和胃), 해어해독(解漁蟹毒)입니다. 주치는 풍한감모, 해수구오, ..

건강(본초) 2024.02.06

FANG+(FNGU, FNGD) 지수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팡이라고 알려진 Microsector FANG+ index 3X Leveraged(FNGU)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FANG+ 지수란? NYSE® FANG+™ 지수에는 오늘날 기술 및 인터넷/미디어 기업 전반의 업계 리더를 대표하는 유동성이 높은 10개 주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수의 기본 구성은 모든 주식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계산됩니다. 시가총액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지수의 성과가 일부 대형주(ex. 애플)에 의해 지배될 수 있지만, 동일 가중치를 사용하면 보다 다양한 포트폴리가가 가능해집니다. 2. NYSE® FANG+™ 지수의 구성요소 (2024년 2월 5일 기준) 메타 플랫폼 INC-클래스A (META) 12.60% 엔비디아 주식회사 (NVDA) 12.22..

경제 2024.02.06

장내 환경 변화를 통해 설사 증상을 개선하는 계지의 효능

오늘은 한의학에서의 "계지(桂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기원 한의학에서 계지란, "육계나무[Cinamomum cassia(L.) J.Presl)]의 어린 가지"를 의미합니다. 2.분포지역 중국(광도, 광시, 구이저우, 윈난, 푸젠, 하이난), 타이완, 라오스,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이 분포지역입니다. 3.귀경 심(心), 폐(肺), 방광(膀胱) 4.효능 발한해기(發汗解肌), 온경통맥(溫經通脈), 조양화기(助陽化氣) 5.주치 풍한감모, 완복냉통, 혈한경폐, 관절비증 및 담음과 수종을 치료하며, 심계와 분돈을 치료한다고 하였습니다. 6.동의보감에서의 계지(桂枝) 계지는 동의보감 내경편에 설명되어있는데요. "止汗. 表虛自汗, 秋與冬則用桂枝. 煎服." (땀을 멎게 한다. 표..

건강(본초) 2024.02.06

대사증후군 치료제로서의 곤포

오늘은 한의학에서의 "곤포(昆布)"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기원 한의학에서 곤포란, "다시마(海帶; Laminaria japonica Aresch.), 감태(Ecklonia kurome Okam.), 미역(Undaria pinnatifida (Harv.) Sur.)의 잎니 전체"를 의미합니다. 2. 이명 "윤포(綸布)" 또는 "해곤포(海崑布)"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3. 분포지역 대개 우리나라와 중국 산동, 요령성, 절강성 등지의 해안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4. 약성 약성은 짜고 찬 성질이 있습니다. 5. 귀경 곤포의 귀경은 "간(肝), 위(胃), 신(腎)"입니다. 6. 효능 곤포의 효능은 "소담(消痰), 연견(軟堅), 행수(行水)"입니다. 7. 적응증 영류(癭瘤), 나력(瘰瀝), 만성기관지염..

건강(본초) 2024.02.06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유용한 황금과 황련

1.황금(黃芩) 1)영문명 : Scutellaria baicalensis 2)본초분류 : 청열조습약 3)성미 : 청열조습, 사화해독, 지혈안태(淸熱燥濕, 瀉火解毒, 止血安胎) 4)귀경 : 폐, 위, 담, 대장 5)기원 : 황금의 주피(외피)를 제거한 뿌리 6)특기사항 : 상초습열, 청열안태(혈열성 태동불안)에 사용 2.황련(黃連) 1)영문명 : Coptis chinensis 2)본초분류 : 청열조습약 3)성미 : 청열조습, 청심제번, 사화해독(淸熱燥濕, 淸心除煩, 瀉火解毒) 4)귀경 : 심, 비, 위, 간, 담, 대장 5)기원 : 일황련, 천황련, 삼각엽황련, 운련의 근경 6)특기사항 : 중초습열, 소양경, 심비의 사열을 다스림 3.오늘의 논문 1)제목 Protective effects of scutel..

건강(본초) 2024.02.06

병풀 적설초와 건선

병풀 (centella asiatica) 한의학 용어 : 적설초(積雪草) 약성 : 쓰고 맵고 서늘함 효능 : 청열, 이습, 산어, 해독 적응증 : 감모발열, 중서, 풍화적안, 편도선염, 인후염, 요로감염, 결석, 간염, 장염, 이질, 해혈, 뉵혈, 옹종, 정창, 단독, 습진, 외상출혈 병풀은 우리나라 남쪽 섬의 길가나 들판에 흔히 자라는 풀이다. 중국에서는 광동, 광서, 사천, 강소, 절강, 강서, 복건, 호남 등지에 분포하는 산형과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이시진의 에서는 "大熱, 惡瘡癰疽, 浸淫赤熛, 皮膚赤, 身熱.本經 搗敷熱腫丹毒.蘇恭 主暴熱, 小兒寒熱, 腹內熱結, 搗汁服之.藏器 單用治瘰癧鼠漏, 寒熱時節來往.甄權 以鹽挼貼腫毒, 並風疹疥癬.日華 胡菝(艹/閜), 主風氣壅並攻胸膈, 作湯飮之立效.士良 硏汁點暴..

건강(본초) 2024.02.06

안구건조증에 좋은 밀몽화

밀몽화 (密蒙花) 1.명칭 및 성미, 귀경, 주치 영문명 : Buddleja officinalis 성미는 성은 미한(微寒)하고 미는 감(甘)하다. 귀경은 간. 거풍청열하고, 윤간명목, 퇴예, 목적종통 등을 주치하므로, 예로부터 눈병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2.논문 내용 오늘 공부하고자 하는 논문은 Buddleja officinalis Maxim.: A review of its botany,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potential for ophthalmic diseases 이라는 2024년 논문이다. "밀몽화 : 식물학, 민족약리학, 식물화학, 약리학 및 안과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에 대한 검토"라..

건강(본초)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