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신이의 효능 알아보기 목련 백목련 무당목련 망춘화

곰돌이규순 2024. 3. 16. 14:12

 

신이 main

 

안녕하세요.

 

봄이 오면 어떤 꽃들이 생각나시나요?

 

저는 아이들같은 노란 개나리와 개화기간은 매우 짧지만 화려한 벚꽃이 생각나는데요.

 

이 꽃 또한 초봄에 피는 꽃 중에 빠질 수 없는 꽃이죠. 바로 목련입니다.

 

신이(辛荑)목련의 꽃봉오리를 의미하는 한약재입니다.

 

그럼 신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목련

 

1. 신이(辛荑, Magnoliae Flos)

1) 한의학적 분류 :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

** 신온해표약 : 맵고 따뜻한 기운을 가진 약재로 추운 날씨로 인해 걸리는 감기와 같은 증상을 해소해 주는 약재

 

2) 기원 : 백목련, 목련, 무당목련 및 망춘화의 꽃봉오리

 

3) 성미 : 성은 온(溫), 미는신(辛)

 

4) 귀경 : 폐(肺), 위(胃)

 

5) 효능 : 산풍한(散風寒), 통비규(通鼻竅)

(풍한 사기(감기 같은 증상)를 흩어지게 하고, 코를 뚤리게 해준다.)

 

6) 주치 : 풍한두통(風寒頭痛), 비연(鼻淵), 비색불통(鼻塞不通), 비류탁체(鼻流濁涕)

(풍한 사기로 인한 두통, 콧물이 줄줄 나오는 증상, 코가 막혀서 답답한 증상, 탁한 콧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

 

7) 분포

① 백목련 : 한국, 중국 중남부, 일본

② 무당목련 : 중국 중남부

③ 망춘화 : 중국 중부

 

 

망춘화

 

2. 동의보감의 신이

1) 외형편 > 비(鼻 - 코)

通鼻塞. 爲末, 葱茶淸點服一錢. 又綿裹塞鼻中. 《本草》

(코가 막힌 것을 뚫어준다. 가루내어 파와 차를 달인 물로 1돈씩 먹는다. 또, 솜으로 싸서 콧속을 막는다.)

 

2) 탕액편 > 목부(木部)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과 기미에 주로 쓴다.

코가 막힌 것을 뚫어 콧물이 나오게 한다.

얼굴이 부으면서 치아까지 당기며 아픈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며, 머리카락과 수염을 자라게 한다.

기름을 만들어 얼굴에 바르면 광택이 난다.

 

정월과 2월에 꽃이 피는데, 털이 달린 작은 복숭아 같다.

자주색을 띈 흰색으로 벌어지지 않았을 때 따야 한다.

이미 벌어진 것은 약효가 떨어진다.

 

북쪽은 추워서 2월에 꽃이 피는데 목필(木筆)이라 하고, 남쪽은 따뜻하여 정월에 꽃이 피는데 영춘(迎春)이라고 한다.

 

쓸 때에는 심, 겉의 털, 포엽을 제거하고 쓴다.

 

 

신이

 

3. 신이의 주요 성분과 관련 논문

신이의 주요 성분은 테트라하이드로프로프라노이드 리그난(tetrahydrofurofuranoid lignans) 계열의 eudesmin, fargesin, epimagnolin A, magnolin 및 yagambin입니다.

 

[논문 제목]

Flos magnoliae constituent fargesin has an anti-allergic effect via ORAI1 channel inhibition

(SCOPUS, 2021)

 

목련(Magnolia officinalis) 또는 관련 종의 마른 꽃봉오리인 신이(FM)는 알레르기성 비염, 두통 및 부비동염의 증상 완화 및 치료를 위해 아시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통 약초입니다. 

 

여러 연구에서 T 세포 활성화 및 비만 세포 탈과립을 위한 세포내 칼슘 신호 전달 계단식 생성 중에 필수적인 ORAI1 채널을 통한 SOCE(저장 운영 칼슘 진입)에 대한 FM의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SOCE에 대한 분리된 구성 요소의 효과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30% ethanoic FM의 5가지 주요 성분(바닐산, 틸리로사이드, 유데스민, 마그놀린 및 파게신) 중 어떤 것이 SOCE와 면역 세포에 대한 생리적 영향을 억제하는지 조사했습니다. 

 

기존의 전체 세포 패치 클램프 결과는 파게신, 마그놀린 및 유데스민이 SOCE를 유의하게 억제하여 인간의 일차 CD4+ T 림프구 증식뿐만 아니라 비만 세포에서 알레르기 유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중 Fargesin은 ORAI1(IC50 = 12.46 ± 1.300μM)뿐만 아니라 T 세포 증식(87.74% ± 1.835%) 및 비만세포 탈과립(20.11% ± 5.366%)에 대해서도 가장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파게신(fargesin)이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제 개발의 유망한 후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