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의학에서는 부인과 질환에 많이 사용되는
목단피(牡丹皮)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목단피의 개요
1) 명칭 : 목단피(牡丹皮, Moutan Radicis Cortex)
2) 기원 : 모란의 뿌리껍질
3) 분류 : 청열량혈약
4) 성미 : 성은 미한(微寒), 미는 고신(苦辛)
5) 귀경 : 심(心), 간(肝), 신(腎)
6) 효능 : 청열양혈(淸熱凉血), 활혈산어(活血散瘀)
7) 주치 : 온독발반(溫毒發斑), 토혈육혈(吐血衄血), 야열조량(夜熱早凉), 무한골증(無汗骨蒸), 경폐통경(經閉痛經), 옹종창
독(癰腫瘡毒), 질박상통(跌撲傷痛)
8) 분포 지역 : 한국, 중국(남부), 일본
9) 특기사항
(1) 혈허한 경우나, 임산부, 월경과다자는 복용을 피합니다.
(2) 활혈행어하므로 월경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또는 어혈이 있는 경우에 좋습니다.
(3) 생지황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동의보감에서의 목단피
1) 내경편 <포(胞)>
"主月經不通. 煎服, 末服幷佳. 《本草》"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주치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모두 좋다.)
2) 목단피탕의 사용
(1)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고 기침을 하며 열이 나는 경우
(2) 폐옹으로 가슴이 모두 아프고 피고름을 토하며 비린내가 나는 경우
3.목단피 관련 논문
1) 제목
"Inhibition effects of Moutan Cortex Radicis on secretion of eotaxin in A549 human epithelial cells and eosinophil migration"
(A549 인간 상피 세포에서 eotaxin 분비와 호산구의 이동에 대한 목단피의 억제 효과)
2) 사전 참고 사항
*A549 human epithelial cells : 안정한 방법으로 인간 A549 폐암종 세포주에서 유래한 부착상피세포
*eosinophil(호산구) : 세포질에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는 과립구성 백혈구의 일종, 호산구는 알레르기 반응에 참여하는 주요 세포이며, 체내의 기생충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도 함
*eotaxin(에오탁신) : 호산구 화학주성 단백질의 CC 케모카인 서브패밀리로 주로 호산구를 유인하는 특별한 케모카인
3) 논문내용
호산구는 광범위한 질병, 특히 알레르기성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 및 염증성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질병은 조직에 호산구가 축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호산구 모집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정의하는 것은 이러한 질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며 약물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에오탁신(eotaxin)은 알레르기 자극 후 호흡 상피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호산구 특이적 케모카인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목단피가 A549 상피 세포의 에오탁신 분비 및 호산구 주화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관련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목단피의 효과를 분석하기 전에 A549 세포를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알파), 인털킨-4(IL-4) 및 IL-1베타로 자극하여 호산구 주화성과 관련된 케모카인 및 접착 분자의 발현을 유도했습니다. MCR의 존재 하에서 발현 및 분비되는 정상 T 세포(RANTES)의 활성화에 대해 조절되는 에오탁신, IL-8, IL-16, 세포간 접착 분자-1(ICAM-1) 및 혈관 세포 접착 분자-1(VCAM-1) 1) 전사물을 실시간 RT-PCR로 정량화했습니다.
결과는 MCR 처리군 0.01, 1, 100 µg/ml에서는 eotaxin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CR 0.01, 0.1, 1, 10, 100 µg/ml에서는 eotaxin 분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MCR 처리는 A549 배지로의 호산구 이동을 유의하게 억제했습니다. 그리고 100 microg/ml의 MCR은 핵인자(NF)-kappaB의 활성화를 억제했습니다.
결론으로 MCR 치료에 의한 에오탁신 분비 억제가 NF-kappaB 활성화 억제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MCR은 천식 치료에 치료적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4.천식(asthma)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건강정보>N의학정보>천식(asthma)]
천식이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천식이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미해진 상태로, 천식이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을 말하는데,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이런 증상들은 반복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나타난다.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 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서 숨이 차게 된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근의 효능에 대한 정리 (0) | 2024.02.13 |
---|---|
폐의 노화의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진피 (0) | 2024.02.12 |
불면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산조인 (0) | 2024.02.07 |
자소엽과 자소자의 효능 (0) | 2024.02.06 |
장내 환경 변화를 통해 설사 증상을 개선하는 계지의 효능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