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 주로 먹게 되는 과일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요즘에는 하우스 과일이나 수입 과일들로 인해 연중 다양한 과일을 섭치할 수 있지만, 제철 과일로는 감귤이 떠오르는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요.
오늘은 감귤의 껍질인 진피(陳皮)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1) 기원 : 귤나무의 잘 익은 열매 껍질
2) 성미 : 성은 온(溫)하고, 미는 신고(辛苦)
3) 귀경 : 비(脾), 폐(肺)
4) 효능 : 이기건비(理氣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
(기를 잘 소통시키고, 비장을 건강하게 한다. 습을 말려주고 담을 제거한다.)
5) 주치 : 흉복창만(胸腹脹滿), 불사음식(不思飮食), 구토얼역(嘔吐噦逆), 해수담다(咳嗽痰多)
(가슴과 배가 빵빵한 것, 식욕이 없는 것, 구토와 딸꾹질, 기침과 가래가 많은 것을 치료)
6) 진피의 사용법 : 진피는 귤피(귤의 껍질)를 3~5년 묵힌 것을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7) 분포 : 한국(제주), 중국(동남부), 일본(남부)
8) 주요 성분 : 헤스페리딘(hesperidin),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폰시린(poncirin), 시트루신 XI(citrusin XI) 등
2.동의보감의 진피
1) 내경편 > 기(氣)
下氣. 又治逆氣. 《本草》
(기를 내린다. 또 역기를 치료한다.)
湯液曰, 導胸中滯氣. 又能益氣. 若去滯氣, 橘皮三分, 加靑皮一分, 煎服. 《本草》
(탕액에서 말하길, 가슴 속의 체기를 이끌어 내리고 또한 기를 더해 줄 수 있다. 체기를 없애려면 귤피 3푼에 청피 1푼을 넣고 넣어 달여 먹는다라고 하였다.)
3.진피의 효능
진피의 효능과 관련된 논문은 굉장히 많은데요.
일반적으로 진피의 효능은 다음과 같이 크게 정리할 수 있고, 추가적인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1) 항산화 및 항염증
2) 비만, 고지혈증, 당뇨 증상의 억제
3) 신경보호 효과 및 항우울 효과
4) 항 폐섬유화 작용
5) 종양의 억제
4.진피 관련 논문
1) 제목 (PMID : 36736168)
Hesperidin inhibits lung fibroblast senescence via IL-6/STAT3 signaling pathway to suppress pulmonary fibrosis
(헤스페리딘은 IL-6/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폐 섬유아세포 노화를 억제하여 폐섬유화를 억제합니다.)
*IL-6/STAT3 signaling :
- IL-6/JAK/STAT3 신호 전달 경로는 만성 염증성 질환 환자와 조혈 악성 종양 또는 고형 종양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됩니다.
- 종양 미세환경의 다양한 세포 유형은 IL-6를 생성하여 종양 세포와 종양 침윤 면역 세포 모두에서 JAK/STAT3 신호 전달을 활성화하여 종양 세포 증식, 생존, 침습성 및 전이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2) 배경
특발성 폐섬유증(IPF)은 발병 기전이 불분명한 만성적이고 진행성이며 치명적인 폐 질환입니다. 증가하는 증거는 세포 노화가 IPF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메커니즘임을 시사합니다. 피르페니돈 및 닌테다닙과 같은 약물을 사용한 임상 치료는 경증에서 중등도의 폐섬유증 및 부작용이 있는 환자의 급성 악화 위험을 줄이고 폐 기능 저하를 지연시킵니다. 헤스페리딘은 이전에 염증 반응을 약화시켜 쥐의 폐섬유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감귤류 알칼리 추출물인 헤스페리딘이 주성분으로 폐섬유아세포의 노화를 억제하여 항폐섬유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헤스페리딘이 섬유아세포 노화를 억제하여 폐섬유화를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폐실질의 섬유하가 점점 진행되는 간질성 폐렴의 일종
주로 운동시 호흡 곤란이 나타나며 심해지면 저산소증이 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가락 끝이 둥글게 되는 곤봉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3) 목적
본 연구에서는 헤스페리딘이 폐 섬유아세포 노화를 억제하여 폐섬유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방법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방법: 블레오마이신을 사용하여 폐섬유증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고, 독소루비신을 사용하여 MRC-5 세포의 세포 노화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시험관 내. haematoxylin-eosin 염색, Masson 염색,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 면역 조직 화학, Western blotting 및 정량적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폐 섬유증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치료 효과. 생체 내 및 시험관 내에서 헤스페리딘의 항노화 효과는 웨스턴 블롯팅, 정량적 실시간 PCR 및 노화 관련 β-갈락토시다제에 의해 평가되었습니다.
4)결과
우리는 헤스페리딘이 생쥐에서 블레오마이신 유발 폐섬유증을 완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노화 표지 단백질인 p53, p21, p16의 발현 수준은 근섬유아세포 표지인 α-SMA와 함께 하향조절되었습니다. 노화 관련 β-갈락토시다제 양성 세포의 수는 생체 내 및 시험관 내에서 헤스페리딘 개입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습니다. 또한 헤스페리딘은 IL6/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IL-6 억제제 LMT-28로 전처리하여 IL-6/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면 시험관 내 섬유아세포 노화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효과가 약화됩니다.
5) 결론
이러한 데이터는 헤스페리딘이 폐 섬유아세포 노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IPF 치료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건강(본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과의 효능에 대한 정리 (0) | 2024.02.15 |
---|---|
갈근의 효능에 대한 정리 (0) | 2024.02.13 |
알레르기성 질환과 목단피 (0) | 2024.02.07 |
불면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산조인 (0) | 2024.02.07 |
자소엽과 자소자의 효능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