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56

한약재 복분자의 효능 알아보기 화동복분자

안녕하세요. 복분자는 남성에게 좋다고 술로 담가 먹는 것으로도 유명한 과일 중에 하나인데요. 복분자라는 이름의 한자를 살펴보면 覆(뒤집힐 복), 盆(동이 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변이 새는 것을 멎게 하여 요강을 엎어놔도 된다"라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혀졌다고 합니다. 그럼, 한약재로써의 복분자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복분자(覆盆子, Rubi Fructus)1) 한의학적 분류 : 삽정약 2) 기원 : 복분자딸기이 채 익지 않은(미성숙) 열매** 중국약전에서는 화동복분자의 열매를 말린 것을 사용 3) 성미 : 성은 온(溫), 미는 감산(甘酸) 4) 귀경 : 신(腎), 방광(膀胱) 5) 효능 : 익신(益腎), 고정(固精), 축뇨(縮尿)(신의 기능을 좋게 하고, 정이 새 나가지..

건강(본초) 2024.05.28

한약재 결명자 효능 알아보기 결명차 소결명 결명자차

안녕하세요. 한약재 중에 눈에 관련된 한약재는 많지만, 대표적으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많이 나오는 이름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결명자(決明子)"입니다. 결명이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가볍게 차로 즐기기에도 좋은 맛을 가지고 있어서 시중에도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럼 한약재로써의 결명자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명자(決明子, sennae semen)1) 한의학적 분류 : 평간식풍약 2) 기원 : 결명차 또는 결명의 잘 익은 씨 3) 성미 : 성은 미한(微寒), 미는 감고함(甘苦鹹) 4) 귀경 : 간(肝), 대장(大腸) 5) 효능 : 청간명목(淸肝明目), 평간잠양(平肝潛陽), 윤장통변(潤腸通便)(간열을 내려서 눈을 밝게 ..

건강(본초) 2024.05.23

한약재 우슬 효능 알아보기 쇠무릎 화우슬 토우슬 천우슬 마우슬

안녕하세요. 오늘은 쇠무릎이라고도 하는 한약재 우슬(牛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슬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줄기에 있는 마디부분이 소의 무릎이나 학의 무릎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재미있게도 이름과 유사성있게 한의학에서는 우슬을 허리나 무릎 등의 근골격계 질환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럼, 우슬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슬(牛膝, Achyranthis Radix)1) 한의학적 분류 : 활혈거어약 2) 기원 : 쇠무릎과 천우슬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 3) 성미 : 성은평(平), 미는고산(苦酸) 4) 귀경 : 간(肝), 신(腎) 5) 효능① 생용(그대로 사용) : 산어혈(散瘀血), 소옹종(消癰腫)(어혈을 흩어주고, 옹종을 제거해 준다.)② 숙..

건강(본초) 2024.05.18

한약재 홍화 효능 알아보기 잇꽃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홍화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약재명으로 잇꽃의 꽃을 홍화(紅花)라고 하는데요. 잇꽃의 원산지는 이집트라고 하며, 중국, 인도, 남유럽, 북아메리카 등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 식물입니다. 한의학에서 도인과 홍화는 주로 어혈을 제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데요. 그럼, 홍화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홍화(紅花, Carthami Flos) 1) 한의학적 분류 : 활혈거어약 2) 기원 : 잇꽃의 꽃 3) 성미 : 성은 온(溫), 미는 신(辛) 4) 귀경 : 심(心), 비(脾) 5) 효능 : 활혈통경(活血通經), 산어지통(散瘀止痛). (혈을 원활하게 흐르게 해서 경맥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제거하여 통증을 그치게 한다.) 6) 주치 : 경폐..

건강(본초) 2024.05.16

한약재 고삼의 효능 알아보기 도둑놈의 지팡이 뿌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송에서 벌칙으로 많이 사용되는 고삼차의 고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고삼의 이름만 보더라도 매우 쓴 약재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고삼에게는 "도둑놈의 지팡이 뿌리"라는 특이한 별칭도 있습니다. 고삼의 뿌리가 매우 흉측하게 생긴 지팡이처럼 생겨서 그러한 별칭이 붙었다고 하는데요. 동의보감에서 해열과 피부질환에 주로 쓰였다는 고삼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삼(苦參, Sophorae Radix)1) 한의학적 분류 : 청열조습약 2) 기원 : 고삼의 주피를 벗긴 뿌리  3) 성미 : 성은 한(寒), 미는 고(苦) 4) 귀경 : 심(心), 간(肝),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5) 효능 : 청열조습(淸熱燥濕), 거풍살충(祛風殺蟲), 이뇨(利尿)(..

건강(본초) 2024.05.09

한약재 지모 효능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 만성적인 염증 질환으로 인한 발열증상에 황백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지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모라는 이름을 보면 知(알 지), 母(어미 모) 이렇게 두 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어머니를 안다."라는 의미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지모(知母)의 실제 이름은 지맹(蚳蝱)이었다고 하며, 이는 뿌리가 처음 뻗을 때의 모양이 지망(등애)와 같다고 해서 붙혀졌다고 합니다. 지맹이 지모(蚳母)가 되었다가 현재의 지모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지모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모(知母, Anemarrhenae Rhizoma)1) 한의학적 분류 : 청열약 2) 기원 : 지모의 근경 3) 성미 : 성은 한(寒), 미는 ..

건강(본초) 2024.05.07

한약재 곽향 효능 알아보기 배초향 광곽향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곽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곽향은 "잎의 모양이 콩잎과 비슷하고 향이 있다"라는 의미에서 곽향이라는 이름이 붙혀졌다고 전해집니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서는 더운 날에 각종 위장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지는 한약재인데요. 곽향이 들어가는 유명한 처방이 있는데 그 이름이 바로 "곽향정기산"입니다. 약학정보원에 등록된 곽향정기산의 적응증 역시, 속이 메스껍고, 구역질이 나며,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는 등 전형적인 한의학적 곽향의 효능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데요. 그럼, 서열병의 대표적인 치료제 곽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곽향(藿香, Agastachis Herba) 1) 한의학적 분류 : 방향화습약 2) 기원 : 배초향의 지상부 전초 3) 성미 ..

건강(본초) 2024.05.06

마황의 효능 알아보기 초마황 중마황 목적마황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의학에서 외감풍한에 의한 감기 증상에 많이 사용되는 마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물론 마황이라는 한약재는 감기뿐만이 아니라 다른 용도로도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한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서적으로 부류되는 상한론에서 마황은 계지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지고 있기 때문에 주요 기능은 외감 치료제로 볼 수 있겠습니다. 마황은 주요 성분인 에페드린의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가슴 두근거림 등)이 있는 약재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마황이 들어간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한의사의 처방을 받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마황의 효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황 (麻黃, Ephedrae Herba)1) 한의학적 분류 ..

건강(본초) 2024.05.06

조구등의 효능 알아보기 화구등 구등 대엽구등 모구등 무병과구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조구등(釣鉤藤)"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조구등이라는 약재가 생소하실 분들도 많으실텐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신경계 증상 등 여러 가지 질환에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로서 중요한 한약재 중의 하나입니다. 조구등이라는 이름은 釣(낚시 조), 鉤(갈고리 구), 藤(등나무 등)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서 "낚시 바늘 같은 갈고리가 있는 덩굴"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실제로 조구등에는 낚시바늘 같은 가시가 달려있습니다. 그럼 조구등의 효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조구등(釣鉤藤, Uncariae Ramulus cum Uncis) 1) 한의학적 분류 : 평간약(平肝藥) 2) 기원 : 화구등 또는 기타 동속근연종..

건강(본초) 2024.04.04

한약재 산약의 효능 알아보기 마 참마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에게는 마, 참마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한약재 "산약(山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마 특유의 끈적함 때문에 음식으로는 그렇게 즐기지는 않는데요. 하지만, 마는 굉장히 많고 좋은 효능으로 예로부터 음식이나 약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효능에 어울리지 않게 산약, 즉 산에서 나는 약이라는 특색없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옛날 마의 원래 이름은 서여(薯蕷)라는 이름이었습니다. 그런데 중국의 송나라 때 서여(薯)라는 왕이 즉위를 했는데, 사람들이 마를 부를 때 왕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불경스러운 일이었기 때문에 이름이 바뀌게 되어 산약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슬픈 일이기도 하지만 간단한 한문으로 변경되어서 좋기도 합니..

건강(본초) 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