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본초) 56

한약재 천마 효능 알아보기 Gastrodin의 작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의학에서 정신과 질환에 많이 사용되는 "천마(天麻)"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신 분들도 많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한약재로써는 굉장이 우수하고 좋은 효과가 많은 약재인데요. 그럼, 천마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 1) 한의학적 분류 : 평간식풍약(平肝息風藥) ** 한의학에서 간은 위로 치받는 병증을 일으키기 쉬운 장부입니다. 증상으로 두통, 어지럼증, 고혈압 등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기원 : 천마의 괴경 ** 괴경 : 괴경은 덩이모양을 이룬 땅속 줄기를 의미합니다. 모양이 변해서 뿌리로 오인할 수 있지만 줄기가 변형된 것입니다. 3) 성미 : 성은 ..

건강(본초) 2024.03.13

차전자의 효능 알아보기 차전자 차전초 질경이 털질경이 차전자피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차전자(車前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차전자 씨는 psyllium이라고 하며, 현미, 해초, 밀기울 같은 것들과 함께 부작용 없는 변비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실제로는 변비와 설사 두 가지 증상에 모두 쓸 수 있는 것이 차전자입니다. 변비에서는 변의 부피를 형성해서 변을 내려가게 해주고, 설사의 경우에는 대변의 물을 흡수해서 설사를 멎게 해줍니다. 차전자의 이름을 그대로 해석해 보면, "차 앞의 씨앗"이라는 의미인데요. 중국 한나라 광무제 시기에 마부(馬武)라는 장군이 오랜 가뭄으로 식량과 물이 떨어진 상황에서 병사들과 말들이 모두 요독증에 걸려 힘들 때, 장군의 말이 전차 앞에 있던 풀을 뜯어 먹고 혈뇨가 없어지고 원기를 회복하는 것을 보고 병사들에게도 먹이..

건강(본초) 2024.03.10

시호의 효능 알아보기 개시호 은주시호 흑시호 등대시호 섬시호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호(柴胡)"라는 약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시호는 한의학에서 발산풍열약(發散風熱藥)의 범주에 들어가는 약재인데요. 발산풍열약은 의미대로 해석하면 풍은 표사, 즉 인체의 바깥부분에 침범에 질병을 의미하고, 열은 말그대로 열이 나는 증상을 없앤다는 의미합니다. 즉, 신체 외부에 열이 나거나 떨리는 감기와 같은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라는 것인데요. 하지만, 시호는 독특하게도 한의학에서 소양경을 치료한다라고 되어있고, 소양이라는 것은 "반표반리(半表半裏)"의 특성을 갖습니다. 반표반리,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반은 밖에 있고, 반은 안에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때로는 열이 났다 안났다 하는 "조열"의 의미를 갖기도 하구요. 현대 한의학에서..

건강(본초) 2024.03.09

목향의 효능 알아보기 운목향 토목향 청목향 천목향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혹시 공진단이란 한약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공진단(拱辰丹)은 이란 책에 있던 처방을 동의보감에서 인용된 한약입니다. [남자가 장년이 되었는데 진기가 오히려 약한 것은 원래 약하게 타고난 것이지 허해져서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함부로 조(건조하게 하는 약)한 약을 쓸 수는 없다. 또 기르고 보하는 약은 아주 많으나 약 기운이 약하여 효과를 보기 어렵다. 다만 천원의 기를 튼튼하게 하여 수승화강이 되면 오장이 저절로 편안하고 온갖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니 이 처방으로 치료한다.] 이렇게 공진단의 효능을 극찬하고 있는데요. 공진단의 실제 구성은 녹용, 당귀, 산수유, 사향입니다만, 비싼 약재가 많이 포함되어 가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저렴한 버전으로 최근 목향공진단을 ..

건강(본초) 2024.03.08

한약재 치자의 효능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 가장 많은 귀경(작용하는 장부)을 가지고 있는 치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은 치자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치자를 넣은 약선밥을 떠올리시는 분도 있고, 부쳐 먹는 전을 예쁘게 만드는데 용도를 떠올리시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한약재로써의 치자는 열을 꺼뜨리는 작용으로 파스로도 쓰이는 약재인데요. 이런 치자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1. 치자(梔子, Gardeniae Fructus) 1) 한의학적 분류 : 청열약(淸熱藥 - 열을 끄는 약) 2) 기원 : 치자나무의 성숙과실 3) 성미 : 성은 寒, 미는 苦 4) 귀경 : 심(心), 간(肝), 폐(肺), 위(胃), 삼초(三焦) 5) 효능 : 사화제번(瀉火除煩), 청열이뇨(淸熱利尿)..

건강(본초) 2024.03.04

복령의 효능 알아보기 적복령 백복령 복령피 복신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약재 중 이수 작용이 강해서 이뇨작용이 필요한 경우 주로 사용되는 처방인 오령산의 중요 약재 중 하나인 복령(茯苓)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복령은 특히 소변불리나 수종을 제거하고 또한 진정작용이 있다고도 알려져 있는데요. 때문에 카페인 등으로 인한 흥분상태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럼 한약재 복령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복령(茯苓, Poria Sclerotium) 복령은 "적복령 백복령 복령피 복신"의 4가지로 나뉘게 되므로 나누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밖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면 "복령피 > 적복령 > 백복령 > 복신" 순서) 1) 백복령 (茯苓, Poria Sclerotium) ① 한의학적 분류 : 리수삼습약(利水渗濕藥) ② 기원 :..

건강(본초) 2024.03.02

후박의 효능 알아보기 다른 약제와의 시너지

안녕하세요. 혹시 후박(厚朴)이라는 약재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호박이 아니라 "후"박입니다. 이름도 비슷한데 호박이랑 비슷한 약재아니야? 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후박이란 약재는 호박과 같은 열매가 아니라 수피, 즉 줄기껍질이랍니다. 이 후박이라는 약재는 보통 소화제 한약류에 많이 들어가는데요. (물론 여러가지 다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여러 약물과 조합(한의학 용어로는 배합)하였을 때 많은 시너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약재입니다. 그럼, 후박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1. 후박(厚朴, Magnoliae Cortex) 1) 한의학적 분류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2) 기원 : 후박, 요엽후박 또는 일본목련의 줄기껍질(수피) **주의 : 후박은 목련과 3..

건강(본초) 2024.03.02

한약재 백출의 효능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성분들에게 많이 사용하는 처방인 "사물탕"과 쌍벽을 이루는, 기가 허한 분에게 처방하는 가장 기본 처방인 "사군자탕"의 구성 중 하나인 백출(白朮)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물탕과 사군자탕의 구성이 되는 약재는 한약의 뿌리를 이루고 있는 한약재이기 때문에 그만큼 중요하게 사용되어지는 약재라는 것인데요. 사군자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백출의 효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백출(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 한의학적 분류 : 보기약(補氣藥) 2) 기원 : 삽주 또는 중국백출의 근경 ** 창출도 삽주의 근경이 아닌가요? 삽주는 가는잎삽주 또는 만주삽주의 근경을 말합니다. 3) ..

건강(본초) 2024.03.01

한약재 창출의 효능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방 소화제나 습담을 제거하는 한약 또는 다이어트 한약에도 자주 사용되어지는 창출(蒼朮)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창출은 특히 소화기에 관련된 한약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약재인데요. 창출이 들어간 대표적인 처방에는 대표적인 한방 소화제 "평위산"과 5가지 적체를 풀어준다는 "오적산" 등이 있습니다. 그럼 창출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창출(蒼朮, Atractylodis Rhizoma) 1) 한의학적 분류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2) 기원 : 모창출 또는 북창출의 근경 (또는 가는잎삽주 또는 만주삽주의 근경) 3) 성미 : 비(脾), 위(胃), 간(肝) 4) 귀경 : 비(脾), 위(胃) 5) 효능 : 조습건비(燥濕健脾), 거풍산한(祛風散寒), 명목(明目) (비장..

건강(본초) 2024.02.28

작약 효능 알아보기 a.k.a 적작약 백작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약(芍藥, Paeoniae Radix)"이라는 약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약은 한의학의 대표적인 보혈약인 "사물탕(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의 구성이기도 하면서 다양한 처방에 응용되는 약재인데요. 어떤 효능이 있길래 이렇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약은 백작약과 적작약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책에 따라서 백작약과 적작약을 나누는 기준이 조금 달라서 2가지 모두 기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작약이라 함은 자약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백작약, 산작약, 모엽작약, 변엽작약, 괴근작약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백작약은 꽃이 하얀 백작약의 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1.백작약(白芍藥, Paeoniae Radix Alba) 1) 한..

건강(본초) 2024.02.27